반응형 미라 이야기: 신동훈 & 김태식/1-외치 이야기54 [외치이야기-29] 고대 DNA를 찾아서 외치의 발견과 연구에서 사실 대부분의 작업은 연구 자체가 특이할 것은 없다. 지금까지 필자가 외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여기서 이루어진 연구는 외치 말고 다른 고고학적 발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이 정도의 성과는 다른 연구들에서도 자주 보는 바다. 그럼에도 외치 연구가 학계를 진동시킨 것은 이 연구에 고대 DNA 분석 기법이 대대적으로 동원되어 다른 연구와는 질적 차별을 이룰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고대 DNA 분석기법이란 1982년에 처음 보고되어 발전을 시작한 것으로 외치가 1991년에 발견되었으니 이에 대한 연구는 고대 DNA 분석기법의 발전과 그 흐름을 같이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외치의 연구 성과에 대해 조금 더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고대 DNA 분석 기법에 대한 이해.. 2025. 1. 31. [외치이야기-28] 대중문화의 아이콘 외치는 대중문화의 아이콘이 되었다. 5000년 전에 화살을 맞아 알프스 산 꼭대기에서 불귀의 객이 되어 버린 이 순동시대의 유럽인은그야말로 대중문화의 측면에서 넘사벽이 되어 버렸다. 필자가 보기엔 외치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한 것은 투탕카멘 정도로서 향후 이런 대중문화의 아이콘 위치를 수백년은 더 유지하지 않을까. 외치가 주인공이 된 만화가 수도 없이 나왔고 외치 이야기를 다룬 영화까지 나왔다. 외치가 이렇게 상업적으로 성공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필자가 보기엔 역사학자과 고고학자, 생물학자 들이 모여 단순히 학술연구를 한 것이 아니라외치와 관련된 스토리를 완성하는데 나름의 기여를 했기 때문이다. 외치의 키는 얼마인가, 눈 색깔은 어떤가, 그는 죽었을 때 나이는 얼마인가, 질병은 있었는가 하는 단순한 .. 2025. 1. 30. [외치이야기-27] 외치는 왜 죽었는가-4 외치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이 있어 아직 완벽하게 해명된 상태는 아니다. 다만 그거 죽음 이전에 어떤 이유에서건 쫒기고 있었으며추적자들과 몇 차례 격투를 벌였던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외치 오른쪽 손에는 아주 깊게 패인 상처가 존재하는데 아마도 이 상처 역시 그가 미지의 암살자와 다투면서 입은 상처일 수도 있게 되었다. 최근까지 축적한 연구 보고를 종합하면 그가 죽기전 매우 복잡한 형적을 남기며 이리저리 피해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그는 산 위에 있다가 한때 산아래로 내려왔다가 다시 산위로 올라가 최후를 맞는다. 그 짧은 시간 동안에 최소한 세 차례 격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마지막 세 번째 조우에서 그는 화살을 맞고 죽음을 맞이했다. 그거 쫒기며 무엇을 먹었는지, 언제 .. 2025. 1. 30. [외치이야기-26] 외치는 왜 죽었는가-3 외치의 모습을 보면 누구나 이상하게 느끼는 장면이 두.가지 있다. 첫째는 얼굴. 외치를 처음 본 사람들은 누구나 심하게 찌그러진 입 모습을 인상적으로 느낀다. 또 하나는 이상한 팔의 자세이다. 왼쪽팔을 오른쪽으로 길게 뻗고 있는데 이 자세는 남티롤 고고학박물관에 안치되어 있는 현재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왜 이런 이상한 자세와 희안한 입술 모양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외치가 등쪽으로 화살을 저격받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등쪽에서 화살로 저격당한 외치는 앞쪽으로 자빠져 눈속에 쳐박혔을 것이다.이 넘어지는 순간 이미 의식을 잃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그의 자세 때문이다. 팔을 길게 뻗은 상태에서 앞으로 넘어지고 얼굴을 그대로 눈속에 쳐박는 것은의식이 있는 상태에서는 나올.. 2025. 1. 30. [외치이야기-25] 외치는 왜 죽었는가-2 이 원인을 규명할 기회는 우연치 않게 찾아왔다. 발견된 지 10년이 되던 2001년, 볼차노병원 방사선과 의사인 폴 고스트너 (Paul Gostner)는 외치에 대한 X선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여기서 매우 수상한 소견을 발견한 것이다. 외치의 가슴 왼쪽 부분에서 정상적 소견이라고 볼 수 없는 음영을 찾았는데 그가 보기엔 아무리 봐도 인공물 같았다. 외치에 대한 CT 검사에서는 수상 한 부분이 더 두드러졌다. 그의 왼쪽 견갑골 부분에서 2 센티 정도 폭의 구멍이 발견된 것. 이 구멍은 그의 왼쪽 폐 언저리까지 뻗어 있었다. 이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한 작업은 곧 시작되었다. 우선 외치에 대한 신체검사가 재개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병리학자인 Eduard Egarter Vigl은 외치 어깨 부분 피부에서.. 2025. 1. 30. [외치이야기-24] 외치는 왜 죽었는가-1 이제 이 글 가장 중요한 부분을 남겨 두었다. 여러 가지 사실이 과학적 연구에 의해 밝혀졌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부분-. 외치가 도대체 왜 죽었는지에 대한 해답은 여전히 오리무중으로 남았다. 사실 외치가 발견 된 후 이 사람이 왜 알프스 산꼭대기에서 죽은 채 발견되었는지 여러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다. 외치가 발견된 직후 가장 먼저 나온 이야기는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살해당한 것 같다는 것이었다.처음에는 손목에 있는 문신을 끈으로 묶인 자국으로 생각했고 뒤통수에 있는 함몰부가 뭔가에 맞아서 그런것 아닌가라는 의견이었다. 특히 외치를 처음 조사한 인스부르크대학 고고학자 콘라드 스핀들러는 외치 주변에서 발견한 화살대가 제대로 다듬어지지 않고 버려진 점에 주목하였다.외치는 그를 쫒는 누군가와 전투를 벌이다.. 2025. 1. 30.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