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변변찮은 점포 하나 없다 비판하며 사치를 경멸하는 조선 사대부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2. 15.
반응형

 

조선이 왜 상업이 발달할 수 없었는가? 

곧, 때려죽어도 자본주의는 맹아도 틔울 수 없는 암흑 사회였는가 하는 해답은 

실은 앞서 길게 인용한 윤국형 증언을 통해 고스란히 확인하는데 
상업이란 무엇인가?

결국 흥청망청 쓰야 하며, 결국은 소비와 사치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각종 판서까지 고루 역임한 조선 중기 전형하는 조선 사대부 윤국형尹國馨(1543∼1611)은

동시대 중국에서는 방방 곡곡 없는 점포가 없고 주식酒食과 거마車馬 같은 물품이 구비되지 않음이 없는데 견주어

"우리 나라 백성들은 모두 가난하여 저자나 행상 이외에는 사고 파는 것이 무슨 일인지도 모르고, 오직 농사로 생활을 꾸려갈 뿐이다"고 한탄했지만

막상 그러한 자신도 임진왜란과 그에 따른 명나라 군대의 대규모 참전이 야기한 조선 사회상이 급속도로 변하고,

그에 따라 종래 조선에는 없던 점포가 생겨나고 패션도 울긋불긋 다채롭게 변모해 가는 양태를 용납할 수 없어 

"진하게 물들인 초록 주의紬衣는 당상관의 연복燕服인데, 유생들이 공공연히 착용하니, 심하다. 사치의 유행이여!"

라 부르짖었으니,

저들 조선 사대부한테는 사치가 곧 경기 진작이라는 관념 자체가 없었다. 

조선은 중국에 견주어 너무 뒤떨어져 있다 하고, 그것이 곧 상업의 진흥 여부임을 알았지만, 그것은 어떻게든 짓눌러야 하는 사치 풍조 그것일 뿐이었다. 

언뜻 이율배반하나, 저것이 왕을 필두로 조선지배계층 혹은 권력을 틀어쥔 자들의 통념이고 상식이었다. 

사치를 배격해야 인의仁義를 구현한다는 믿음.

저런 사회에서 어찌 상업이 생겨나고 자본이 축적하며, 그리하여 자본주의가 배태하는 공간이 있단 말인가? 

조선은 망할 때까지 거지의 나라였고, 자본주의는 송곳 하나 꽂을 틈도 없었다. 

자본주의 맹아론은 개사기며, 대국민 사기극이다. 

영정조시대 르네상스? 르네상스 같은 소리 하고 자빠졌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