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내재적 발전론이 제자리를 맴도는 이유

by 초야잠필 2025. 2. 16.
반응형

 

필자가 대학 다닐 무렵 화두는 한국근대사의 내재적 발전론이었다. 

광작, 자본주의의 맹아, 화폐경제 등 내재적 발전론을 뒷받침하는 많은 이론들이 이 시기에 양산되어 나왔다. 

그런데-. 

지금 그 시절부터 무려 40년이 지났는데 

여전히 제자리를 맴돌고 있고 

때로는 이 이야기가 정말 사실을 반영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왜 그럴까. 

사실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에도시대의 모습과 한말 조선의 모습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여기 김 단장께서도 쓰셨지만 

필자 역시 소위 내재적 발전론의 화폐경제와 자본주의 맹아론은 아직도 확신하기 어렵다. 

좀 더 냉정하게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야 할 때다. 

언젠가 썼지만, 

이제는 한국인이 바보라고 보는 사람들은 전 세계에 없다.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한국 근대사를 다시 돌아보아야 하는 때가 오지 않았는가 한다. 

자본주의 맹아가 결여되어 있었다면 그런 대로 왜 그렇게 되었는가를 밝히는 것이야말로 역사가의 사명이다. 

이 이야기가 때로는 식민지근대화론 등과 뒤엉켜 난장판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 시기의 연구야말로 연구자에게 돌려주고 정치적 입장은 2선으로들 물러나 있어야 

우리는 제대로 된 사실을 눈앞에 보게 될 것이라 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