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다상, <에혼 타이코기>를 베끼다>
![](https://blog.kakaocdn.net/dn/szGRJ/btr0ObgSsBz/eia6p6ej5IXBtwEKFi8l40/img.jpg)
도요토미 히데요시(1536-1598)를 좋아하는 한국인이 있을까? 한국인으로서는 7년 전쟁을 이끈 왜구 두목 이상의 평가를 주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일본인이 보기에 도요토미는 오다 노부나가(1534-1582), 도쿠가와 이에야스(1542-1616)와 더불어 전국시대 삼걸三傑로 꼽히는 무장이자 흙수저 성공신화를 이룬 경세가다.
그 인기는 도요토미 정권을 끝낸 에도 바쿠후 시절에도 식지 않았다. 바쿠후는 도요토미와 관련된 서적을 금서로 지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지만, 그럼에도 일본 서민들 사이에서 그의 인기는 여전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HPXYp/btr0NMalvvg/2CDNtULZ0ukHMnwJ4fuy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FDlS8/btr1beQF6MK/fnnabdOM2oWC6yy9gecU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unRO/btr0JPrPYVu/8ikUsAV6215w6cD6CTrYd1/img.jpg)
때는 분세이 6년(1823), 후루시마(古島邑)라는 곳에 요시다 아무개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제법 글자를 알았던 그는 어느 날 소설을 읽고 싶다는 욕망에 사무쳤다. 하지만 소설을 살 돈은 없었던지, 한 가지 방법을 생각해냈다.
어디서 소설을 빌려와서 베껴 읽자! 그가 택한 소설은 <에혼 타이코기繪本太閤記>. 18세기 말에 도요토미의 일대기를 글과 그림으로 엮어낸 대장편소설인데, 무려 84책에 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ejn9pk/btr0RQi8g4o/UzkqgPKTdleUyskqlKIVO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HpaX/btr0Wexhb2G/1qSmETkPQWn9jImiXJWu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lCZ3/btr0VJD3Rcz/cfFf7QvV2xzjQ3AlWQdiU0/img.jpg)
그 중에서 4편의 1~4권을 베껴놓았다. 글씨를 상당히 잘 썼는데, 행정관료 아니면 상인이나 의원 아니었을까 싶다.
근데 우리의 요시다상은 그림재주는 없었던지, 그림이 생명인 에혼繪本에서 그림을 몽땅 빼버렸다. 그래서 이 필사본은 이름만 '에혼'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어떤 부분은 '중략' 또는 '하략'을 시켜버렸는데, 아마 베끼다가 종이가 모자랄 조짐을 보이자 자기가 재밌어보이는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는 과감히 빼버린 게 아닐까 싶다.
![](https://blog.kakaocdn.net/dn/A5WWb/btr1fORqjO8/nkOa92KtLNpbykFJ7Qk9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cnsf/btr07AsSZjE/UsVhZvySx63d7wBYb0MP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m1h0/btr1bl9529q/PDVM03Z5vmoJAfSX99X1x1/img.jpg)
이런 건 19세기 조선의 세책貰冊과도 비교할 만 하지 않을까? 하여간 퍽 재미있는 자료를 보게 되어 몇 자 적어보았다.
'探古의 일필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의 DDP, 성산 고성리 아파트 (0) | 2023.03.02 |
---|---|
수건 뒤집어 쓰고 이규보한테 밥을 빈 여인 (0) | 2023.03.01 |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 이규보한테 쌀을 꾸는 백수 (0) | 2023.02.27 |
이규보가 증언하는 이웃 기생집 화재 (0) | 2023.02.26 |
지방관의 두 가지 자세, 너무 다른 제주목사 최전과 이종윤 (0)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