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sfP2C/btqInNqVL28/AhbPkzthPb5iOJLQeAnlh0/img.jpg)
석굴암을 공중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다. 인터넷에서 긁어왔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차원에서 제시한다.
보다시피 석굴암은 부처님이 위치하는 원형 주실主室을 뒤쪽 후미진 곳에다가 넣고, 그 전면에 평면 방형인 전실前室을 배치했으니, 두 군데로 통하는 통로가 있다.
유의할 점은 주축 장축은 동-서 방향이라는 사실이다. 우리한테 익숙한 남북 방향이 아니다. 다시 말해 부처님은 서쪽 끝 후미진 안방에서 전실 너머 동쪽을 향한다.
![](https://blog.kakaocdn.net/dn/FEqBB/btqIl8B8JDP/E7ovH3qm6i2XeMK8nIzkTk/img.jpg)
더 간략화한 평면도로 역시 아무데서나 긁어왔다. 전실과 주실 통로를 비도라 했는데, 저건 어디에서 굴러먹다 온 용어인지 모르겠다. 중국 고고학 용어를 빌린다면 용도甬道라 하는 통로다.
보다시피 전실 양쪽 벽면에는 팔부신중八部神衆이라 해서, 불국토를 팔방에서 호위하는 무사 8명을 네 명씩 벽면에다 세웠다.
![](https://blog.kakaocdn.net/dn/cyL3qc/btqIsMrjCLG/jSCbiu1FUkrpemUcimnsmK/img.jpg)
전실에서 주실로 통하는 통로에다가는 불국토를 사방에서 호위하는 신들인 사천왕四天王을 양쪽 벽면에 2명씩 배치했다. 전실이 끝나는 지점 양쪽 대문 기둥에는 금강역사 두 사람을 한 사람씩 표현했다. 금강역사는 인왕仁王이라고도 하는데, 저 모습 어디에 인자함이 있단 말인가?
팔부신중이건 사천왕이건 금강역사건 모조리 door men이다. 나는 저와 같은 비슷한 성격의 신들을 왜 동아시아 불교가 왜 이중 삼중으로 만들어냈고, 그리 만들어냈으면, 하나만 쓰면 되지 왜 저리 삼중장치를 해야했는지 알다가도 모르겠다.
![](https://blog.kakaocdn.net/dn/bY5nTA/btqIsLTt2Hg/UzWnb4ru2kMIr984KHe5uK/img.jpg)
이 점은 인도 문화권, 그리고 그에서 직접 영향을 받은 동남아시아 불교문화권과 동북아시아 불교문화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다. 저들은 인도불교문화권에서는 없다. 곧 동아시아문화에 불교가 착근하면서 이 지역 사람들이 만들어낸 방위신들이다.
인도문화권에는 방위신 개념이 없다. 있다 해도 그 영향이 제로다. 반면 음양오행설이 강력히 작동하는 동아시아 세계는 달라서 중앙을 중심으로 사방을 다르고, 다시 팔방을 가르고 다시 12방을 가르고, 그에서 더 나아가 그 방향마다 각기 신통력을 부여했으니, 그런 고래의 사상이 불교와 결합하면서 방위신 개념을 가미하기 시작했다.
![](https://blog.kakaocdn.net/dn/lTlOh/btqIs9NvZUv/tlkSqjGDtKwVYgowCku4S0/img.jpg)
그런 점에서 석굴암은 이런 인도에 발판을 두는 문화권과 동아시아 문화권의 전형적인 복합을 보여준다.
주축 방향을 동서로 내고, 동쪽에다가 대문을 마련한 것은 전형적인 인도문화권 발상이다. 그에다가 각종 방위신이라는 방위신은 다 때려박았으니, 그 절묘한 조합을 보여준다 하겠다.
나중에 다시 얘기하겠지만, 이 방위신은 결국은 12지 동물과도 결합하게 되는데, 결국 저들 삼중 말고도 다시 12지를 더해서 4중 잠금장치를 걸어잠그게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Zwuyi/btqIrHw2gh2/ALXVzpeZK1tDSfq5fBSQQ0/img.jpg)
저 도어맨들이 하나같이 인상 더러운 이유는 여차하면 삥을 뜯기 때문이다. 언제나 정의 수호는 곧 삥뜯기와 동의어였다.
인류역사가 그랬다. 요즘 사찰에서 젤로 무서운 양반은 조실 방장스님, 혹은 주지스님이 아니라 그 아래 복무하는 완장한 새끼스님이나, 더 무서운 분은 대웅전을 지키는 보살님인 이유가 다 전통이 닿는다.
![](https://blog.kakaocdn.net/dn/badN5a/btqInOcWoyK/skoYFcyY8DKPKkf25XHz40/img.jpg)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유신 탄생 전야, 서현과 만명의 결합 (0) | 2020.09.14 |
---|---|
한반도에 침투하는 생일 (0) | 2020.09.14 |
모란은 억울하다 (3) | 2020.09.07 |
야유타국阿踰陁國과 황룡국黃龍國, 허황옥을 둘러싼 두 곳의 출자出自 (1) | 2020.09.05 |
지도로란? (1) | 2020.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