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성공 확률이 높은 고고학 상품

by taeshik.kim 2023. 8. 20.
반응형
나주 영동리고분 삼국시대 인골

 
어제 문화재업계 친구랑 잠깐 나눈 대화 일부다.

그와 내가 전적으로 합치한 부분이 있는 까닭이다. 

나는 매양 한국고고학은 상품이라는 관점에서 강조하거니와, 그럼에도 그 무한한 잠재력에 견주어 그 상품을 제대로 만들지도 못하고, 제대로 팔아먹지도 못한다 분통을 터뜨리거니와 

예서 시장은 주로 해외를 말한다. 물론 국내 또한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과연 이 상품을 제대로 만들어 제대로 팔아먹는가?

전연 아니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그러면서 나는 매양 고고학으로 밥 빌어먹고 산다는 자들을 성토한다. 매일매일 시일야방성대곡을 쓴다. 

그런 일을 해야 할 넘들이 어찌하면 이걸 상품으로 만들어 어찌하면 세계시장에 팔아먹을 생각은 않고, 매양 문화재청 쳐들어가, 혹은 문화재청 직원들 만나 고고학회 지원하라, 대학박물관 지원하라 이런 짓거리만 해대고 

저 세계화를 위한 전략은 안중에도 없이, 그렇게 무수히 파제낀 한국고고학 상품을 사장하는 일에 그네들 스스로가 앞장서는 형국이라,
난 이넘들이야말로 역사의 죄인이라 본다. 
 

아프가니스탄 금관

 
각설하고 내 경험도 그렇고, 그 친구도 같은 반응인데 그것이 텍스트 뉴스건, 영상물이건 관계없이 가장 반응이 폭발적인 고고학 상품은
 
1. 황금 
2. 해골

이 두 가지다. 내 블로그 통계치를 봐도 그렇다. 신라 쪽 황금유물, 혹은 해골만 나왔다 하면 트래픽이 쑥 올라간다. 

물론 저에다가 수중발굴 역시 흥행 실패가 없는 영원한 우량품임은 말했다만, 

이런 경향도 잘 읽어야 한다고 본다. 

무엇이 잘 팔리는가? 이는 무엇을 우리가 팔아먹어야 하며, 우리가 무엇을 콘텐츠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장 초보적인 출발이다. 

고고학 전공?

그들이 무슨 고고학 상품화 전략을 알겠는가? 그러고서 무슨 고고학 대중화가 있겠는가? 

대중고고학? 미안하나, 대중고고학을 표방했지만, 그 대중고고학 자리에 그네들이 대중이라 부를 만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고 이른바 고고학도만 있는 기현상이 벌어지는 까닭이 바로 이에서 말미암는다. 

고고학을 대중으로 돌려준다 했지만, 고고학 스스로는 단 한 번도 그걸 대중한테 줄 생각이 없다. 

일방적인 훈시와 교시만을 고고학 주체의 시각에서 팔아먹으려 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