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제향思帝鄕
위장韋莊(836~910)
봄날 노니는데 살구꽃 날려 머리 가득 떨어지네
길가 저 도련님 뉘집 자식이기에 저토록 훈남인가
내가 저이한테 시집가 한평생 함께하면 원이 없겠네
그리 살다 무정하게 버림받아도 미워하지 않으리
春日遊杏花吹滿頭
陌上誰家年少足風流
妾擬將身嫁與一生休
縱被無情棄不能羞

화무십일홍이라 한때 마른 장작 붙은 불길 같은 정념도 잿가루가 되어 뀌다논 보릿자루에 지나지 아니하고
식어버린 사랑이 새사랑 찾아떠나면 이 쓉쉐 가만두지 않으리 하고는 지구촌 끝까지 좇아 패가망신을 주고 살쩜을 도려 씹어도 분이 풀리지 않는 법이다.
고통 회한 분노 복수 없는 별리別離 있던가?
별리는 두 번 세 번 네 번 겪는다고 단련되지 아니한다.
연습도 실전도 경험도 소용없는 데가 별리요 배신이다.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宋] 소식蘇軾, 적벽 옛일을 회고하며[赤壁怀古] (0) | 2023.06.12 |
---|---|
남한산성 장경사에서 토로하는 울분 (0) | 2023.06.03 |
유비 사당에서[蜀先主廟, 촉선주묘] by 유우석劉禹錫(772~842) (0) | 2023.05.14 |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이 증언하는 괴뢰희傀儡戲 (0) | 2023.04.29 |
늙어도 팔팔한 그대가 부럽구려, 친구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이 증언하는 유자광柳子光 (0)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