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는 조선후기에 사방에 저수지를 만들어
평야지대까지 모두 관개화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에 대한 연구는 사실 없는 게 아니고 이미 어느 정도 되어 있다.
대략 우리나라,
17세기 경부터 전국적으로 개간의 열풍이 불었는데
이때 수리시설이 꽤 많이 만들어졌다.
무슨 수리 시설이 만들어졌을까?
저수지?
17세기 우리나라 개간에 대한 연구를 보면,
몇 가지 점에서 놀란다.
첫째, 수리시설이 폭증한 곳이 의외로 경상도 지역이라는 점.
둘째, 폭증한 시설이 저수지가 아니라 보라는 점.
셋째, 우리나라 관개용수는 저수지로 논에 물댄 곳은 거의 없고 대부분 보로 물을 댔다는 점.
우리나라는 조선 후기, 전국적으로 보 설치가 급증하면서
비로소 봄철 가뭄 문제를 극복하고 이앙법이 보편화하게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보가 사방에 설치된 것은
사대강사업 때가 아니었다는 점,
그리고 개간과 수리시설이 폭증한 곳은 한반도 서남부가 아니라 의외로 동남부 지역이라는 점.
상식을 뒤엎는 사실이 많이 보인다.
이렇게 본다면, 사실 우리나라 대하천 하류의 경우
과연 언제 관개화해서 농지가 되었는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하겠다.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 기마민족설의 원류 (2) | 2024.09.15 |
---|---|
조선후기: 한국에는 보가 가득했다 (2) | 2024.09.14 |
글은 열독율과 임팩트를 보고 언어를 선택하는 것 (5) | 2024.09.13 |
60 이후의 글: 학계가 아니라 시간에 묻는것 (4) | 2024.09.13 |
잡곡농사보다 도작이 우월한 것이 아니다 (4) | 2024.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