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dhBFuh/btqVdOd2PSu/0zyhmeKRneDYtdV5su6NyK/img.jpg)
서울시가 풍납통성 발굴을 계기로 한성백제문화 소개를 위한 전문박물관으로 한성백제박물관을 몽촌토성 인접지점에 문을 열기는 2012년 4월 30일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4s19b/btqVh7Yue7P/6ry52uK21EDoujv0JZhwq1/img.jpg)
이곳이 자리한 송파구에는 한성백제 왕궁 겸 왕성임이 확실한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있고, 왕을 비롯한 지배층 공동묘지임이 확실한 석촌동고분군이 있기에 이런 전문박물관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https://blog.kakaocdn.net/dn/crsL3U/btqVug7pnaz/oNFbj03VhynwgIRvDfR2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RjXy/btqVqFmzrSh/KFV1HNIcRNUmDkgavxCBek/img.jpg)
조사기관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풍납토성은 중앙정부인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전담하고, 나머지는 한성백제박물관이 하는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업무 분장이 이뤄져 오늘에 이른다.
![](https://blog.kakaocdn.net/dn/0OqQW/btqVnYfDleA/0WLrBkw5m1iR97sTGfymS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nI8P8/btqVkK24GiL/7mQBK137XU5lSoTzeFwo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WYJ9/btqVtbrJV0F/uHUWDd5l9r9Km0AGdCQK7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1n6En/btqVnXVomoD/qOz2aPmKK6KtlE3Rd2A1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p7Fz/btqVswQqLyX/SLCrROI3cph6fxvzKz1UQ0/img.jpg)
한성백제박물관은 몽촌토성과 석촌동고분군 발굴에 집중했으니 이 중 전체구역이 사적으로 묶였고 공원으로 조성되어 이렇다 할 보호장치가 필요없는 몽촌은 순전히 학술연구차원에서 80년대 발굴이 워낙 개판이었던 까닭에 새로운 발굴이 필요했던 반면, 석촌동고분군은 느닷없는 맨홀 퐁당 사건이 벌어지는 바람에 느닷없이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xE8Ua/btqVkMs1f4L/45lFc6kcLkshhRJFWMt7Bk/img.jpg)
박물관이 마련한 왕성과 왕릉 특별전은 한성백제박물관 출범 이후 이 박물관이 이룩한 두 군데 발굴성과의 중간점검이다. 따라서 제목이 표방한 왕성은 몽촌이고 왕릉은 석촌동이다.
![](https://blog.kakaocdn.net/dn/Jch2b/btqVuf8uZET/kuMVBlWmMbdkhmIwSmav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yLEL/btqVh7EcIqZ/ZOwDqWlySK70CjfKozNa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dLML9/btqVe66DMfV/GxywTKZAGuQyejqgAdOj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Ikn0R/btqVh7c53Tn/apVTYNzskI48GnP9bj8pj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6sEmc/btqVqFUquEM/acWNHtroOILE83xZBiv4n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Hxw7/btqVtbyvwSX/0Ejoap7H6l1ExiOh9inzY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EwkCY/btqVdeqCWpl/viZQNOmbo3YHNgxwKhclt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mJn0/btqVsxaJ63I/TfZe2D0EYq8KU5ozDUkMVK/img.jpg)
다른 기관에 의한 조사는 철저히 배제했고 오직 저 두 군데 자체 성과만을 정리하려 했다는 데 이번 특별전 특징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qsCN/btqVsyOeNpW/1hXkjPqo3u28iqPEAkN5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yrpJ/btqVh8wkmJb/F3GqUYm8fCArvBpWJWIc1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C3fxn/btqVsxu37F9/uVGJ36e2OfMkyLtNtI9AR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Kyvs/btqVh7RKaJw/zjZgcIKcLLUARSkxnEBG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3l0e/btqVnYmrO0D/mKr4ecrapbJtW6LmoTTys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edXq/btqVtbFg5Kg/DfB6KmhnrvBFRFl8QSKAEK/img.jpg)
한성백제박물관은 역사가 일천한 데 따른 약점 혹은 아쉬움을 노출하곤 하는데 이는 기간 특별전에서 대체로 드러났거니와, 백제고고학과 백제역사학 전공자들이 여전히 주축을 이루는 곡절이라 이해하고 싶다.
![](https://blog.kakaocdn.net/dn/ct8mDy/btqVdNGfnLW/7NqiotmQQnK2fHmCRQ6eB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Fi27/btqVdexkuHv/G1KG8t8n4eK154YwfT93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uQla/btqVsygrGXB/n4KIZqThBuD2Ujn7hlot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p8z2/btqVuhFfO2c/tRpm6DHYh1T4VCBwtHkA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CcNx9/btqVnX15uV4/gcdGGLNZxDiVSUxxBbNRT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E0Sxx/btqVugzz33d/tFJ9mxqLGKHz64q6aGma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bPvFK/btqVkLVau2y/KOPe4P9CJRFPEIbTjylG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uEX5b/btqVde48XXq/xHuwcbsML4bCWkZczkNS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ofGxU/btqVqGsepAK/sOzf4vBtKbMbQuEmmK2o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O4VC/btqVswQrksc/NC9VHqbxyCaVoXqU1MNVB1/img.jpg)
이들의 기간 전시는 너무나 고고학적이라 새로운 문화재 전시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거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거니와,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것과 그것이 일반시민사회에 팔리는 문화상품인가는 전연 별개다.
![](https://blog.kakaocdn.net/dn/bqBTAk/btqVdMgiiLC/mFpL9qLSwadEBpqZkPki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kxS9/btqVdMABRWT/YYrekJHCqrpiRfKdBhCT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prqRP/btqVh8wkFM9/osHMXX3kS3s4xlja3jdKn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WsGP/btqVugsOG7Q/o4xUDRDWr9kQEm8btf0U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jfNaq/btqVe8ckqXE/gpmlBYAML5bRdXy5RLmC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fxhU/btqVkLgzXxw/9V6eRMkge4o4JaaRlFQL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QQhGd/btqVdeYn3IW/1sqwnk6wYbuXvwWWBh6o31/img.jpg)
그런 점에서 이번 특별전 역시 "고고학적"이라는 비판을 벗어나기는 힘들다고 본다. 다만, 그런 가운데서도 어떻게 하면 고고학을 활용해 한성백제를 시민사회에 돌려줄 것인가 하는 고민이 곳곳에서 묻어난다는 점은 분명 고무적이어니와 향후 더 좋은 발전이 있으리라 기대케 하는 대목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CowYI/btqVh6SRswM/cN3uWc72yOiZDLNOVz4eJ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uBvU/btqVe7LefRw/poRYd698TDNQp1noKw9t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DQny/btqVh8C9AsI/qb8WV1frNkNyqewCcEPx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amW0/btqVdMgi2mS/TIt8CtW6lfkhniBWGPGb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9Tbe/btqVsxaME7s/VPVroXPGUcVGZ6Yzbt0I8K/img.jpg)
특별전 주제가 '왕성'과 '왕릉' 두 가지이듯이 특별전 또한 크게는 몽촌토성이 대표하는 왕성 코너와 석촌동고분군을 중심으로 꾸민 왕릉 섹션 두 지점으로 나뉜다.
![](https://blog.kakaocdn.net/dn/44rty/btqVqGeJUFB/z6ApwpiVZJ5M3fXkO21R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5vbC/btqVkL8Lrh8/RlTWve5wSuKuXGa4zdgi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Jsx0I/btqVkLHGc71/GaUTKsHcjWQTSFDlAOgJ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eIGA/btqVugzBvoa/KicoEl0fOi2Mzlcdsr6yP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5gLzn/btqVqGsfFO7/6It76KxokNsxbFo6RFy9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yneC4/btqVkLVbF8u/jEvupKEArDwjMDGVGE88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tDCk/btqVsw3ZYp5/bi6BX0QkVloqAwNC2aDWi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TCwA/btqVddFcPjm/wUtbw0kRlUPQ051cEAyifk/img.jpg)
유의할 점은 석촌동고분군이 철저히 한성백제가 전유專有하는 데 견주어, 몽촌토성은 한성백제 흔적이 매우 두터운 가운데서도 고구려 흔적이 더러 있고, 그 이후에는 신라가 남긴 흔적 또한 녹록치 아니하는 복합유적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이번 특별전 몽촌 코너에서는 백제를 중심으로 고구려, 신라로 문화층을 나누어 그 성과를 소개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ZuLBp/btqVsygsXMD/29SfpVy286aiSTiEKE2K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vB2q/btqVqGTiy1q/cOhARAKWsPo0EdaBXurWu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NFni/btqVuhecYAK/jXsUACMqWuL7KgVPTKk4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UPE1/btqVufUZBz8/hrl4lwBH6ngdtUVQ07TX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sYBD/btqVnXA3y2B/WojMXErJDLav7rdmRgUHs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SiFcC/btqVtbFiasS/ZD4lDZBCwwOff9dctLMSD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DZ1k/btqVsyAI3QW/autTY0vtAZHfkjuRbZhs90/img.jpg)
덧붙여 석촌동은 말할 것도 없이 사자死者와 신령神靈을 위한 귀곡산장임에 견주어, 몽촌토성은 철저히 산 자들을 위한 공간이라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이는 출토 유물에서도 비교적 뚜렷이 갈리거니와, 몽촌이 산 사람들을 위한 흔적이 녹록한 반면, 석촌동은 철저히 죽은자를 위한 특징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https://blog.kakaocdn.net/dn/cvzfVO/btqVdeqEBOY/cGH9NTChChwp13cClbtM1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iZ3C4/btqVe84xpRo/jLJSDby3GnKiFhpNMSMKT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xSUa/btqVuhrKI3A/VGPmdaRCGr0CUmGXhQY6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lqmd/btqVe8XITl5/kj8tEsoXpRIeBlWHeCkK9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V6Ap/btqVnY04m9X/Knah0mauyalC0GPKxbDK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FlIJ/btqVqGlwgsh/LdlEsB8E5Q9GNFzKUVtyKk/img.jpg)
그럼에도 유의할 점이 또 있다. 왕릉 역시 죽은 왕들이 사는 사후세계 궁전이라는 점에서 생전 궁전인 몽촌토성과 일맥으로 상통한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한성백제인들의 먹거리 코너를 마련한 대목을 나는 좋은 시도로 평가하고자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OiGmi/btqVtal5V3B/icB2LUce8SNLjxbus0O4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HBlK/btqVh7jX7u2/dJbbgTQ0AVUPzOUDwie6Y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ESpC3/btqVh7c8oJB/Bggd7Bc5dnlwGOjB6LNlj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lIQi/btqVdfiIzo6/gmkGRakfaeKknIJSQk88s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644p/btqVsxV6Top/ufIiOtGv76A48AMTyiqHXk/img.jpg)
같은 맥락에서 석촌동이 정말로 철저히 죽은자들을 위한 귀곡산장인가는 다시금 생각해야 한다. 나는 석촌동 일대를 삶의 세계와 유리한 저승세계로 보지 않는다. 실제 발굴성과를 볼 적에도 무수하면서도 다종다양한 기와유물이 쏟아졌거니와, 이는 단순히 능상陵上 건축으로 볼 수는 없으며, 지금은 쪼그라들대로 쪼그라든 이 공동묘지는 실상은 능시陵市이기도 한 흔적으로 본다.
![](https://blog.kakaocdn.net/dn/ttDGj/btqVddFcRGv/9lKKErw8DIfnUT7PgLAyoK/img.jpg)
석촌동에서 실은 무수한 기와가 쏟아지기는 70년대 서울대박물관 조사에서 드러났다. 다만, 하도 발굴이 개판을 쳤는지,그런 유물들 실체가 2010년대 들어와 비로소 공개되기에 이르렀다. 미치고 팔짝 뛸 노릇인데, 그 보고서를 보면, 70년대에 이렇게 많은 기와유물이 쏟아졌나 경악하게 된다. 그런 유물들을 꽉 움켜쥐었으니, 환장할 노릇 아니겠는가? 듣자니 그런 기와더미 중 일부는 당시 대학가 격렬 시위에서 장돌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했다는 후문을 들었다.
![](https://blog.kakaocdn.net/dn/22mtC/btqVddL1U4R/9fBgcaJ9BmXXl8jwwS0F90/img.jpg)
아무튼 석촌동고분군은 간단히 말해 그런 공동묘지를 관리하기 위한 무수한 인력이 필요했으며, 그 인력들을 관리하기 위한 별읍別邑이 분명히 석촌동 일대에는 있었다는 것이다. 그 흔적이 저 무수한 기와더미가 웅변한다고 본다. 나는 한성백제박물관이 파헤친 석촌동 유구가 모조리 무덤이라는 추정 혹은 주장을 거부한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0-year-old Bodhisattva born new (0) | 2021.02.03 |
---|---|
조선 중기의 충주박씨 거물들 박상-박순 초상화 (0) | 2021.02.02 |
베수비오화산이 매몰한 헤르쿨라네움 해변 발굴 재개 (0) | 2021.02.01 |
얼굴이 동글동글해서 올빼미, 뉴욕 센트럴파크를 131년만에 찾았다는 Snowy Owl (0) | 2021.02.01 |
명문장으로 남은 과거시험의 필독서,《동래박의東萊博議》완간 (0) | 2021.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