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5.5m long Baekje-era underground wooden water storage (2017)

by taeshik.kim 2020. 12. 8.
반응형

 

<location of the site> 

 

카카오맵

당신을 좋은 곳으로 안내 할 지도

map.kakao.com

 

An 1,500 year old underground square water storage with a side length of about 5.5m from the Baekje kingdom period was discovered at Wiryeseong Fortress located in Mt. Seonggeosan, Cheoa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is water storage is 5.5m wide, 5.45m long and 1.8m deep, and is the largest of its kind known in the Baekje Sites.

 

Wooden Water Storage from Baekje period 



Baekje-era water storages have been identified in Gongsanseong Fortress in Gongju, Gyejoksanseong Fortress in Daejeon, and Seolseongsanseong Fortress in Icheon etc.

The Wiryeseong storage was made by framing wood on the floor in the form of a checkerboard, and it was divided into 3 blocks horizontally and 3 vertically.

 

Wooden Water Storage from Baekje period



At the point where the wood intersects, each hole with a diameter of 12 cm was drilled and a sharply-cut pillar was inserted and fixed. Four pillars were installed in the center and 12 in the outer wall.

It turned out that this water storage had been reconstructed as a stone well during the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periods.

 

Wooden Water Storage from Baekje period



Wiryeseong Fortress is known to have been built by Baekje during the period when the Kingdom was capitalized in Sabi, present-day Buyeo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Nov. 13th, 2017)

 

Wooden Water Storage from Baekje period

 

Wooden Water Storage from Baekje period




천안 위례성서 백제 최대 목곽고 발견…길이 5.5m 정사각형
충청남도역사문화원 발굴조사…"사비도읍기에 축조"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충남 성거산 위례성에서 한 변의 길이가 약 5.5m인 백제시대 최대 규모의 목곽고(木槨庫)가 확인됐다. 목곽고는 나무로 만든 지하 저장시설을 말한다.

문화재청은 천안시와 충청남도역사문화원이 위례성 안에 있는 용샘(물웅덩이)을 발굴해 사비도읍기(538∼660년)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 목곽고를 찾아냈다고 13일 밝혔다.

 

Wooden Water Storage from Baekje period



목곽고는 가로 5.5m, 세로 5.45m, 깊이 1.8m 크기로 기존에 백제 최대 규모로 알려진 대전 월평동산성의 목곽고보다 한 변의 길이가 약 30㎝ 정도 길다. 백제시대 목곽고는 공주 공산성, 대전 계족산성, 이천 설성산성 등지에서도 나온 바 있다.

위례성의 목곽고는 바닥에 목재를 바둑판 형태로 짜 맞춰 넣어 가로 3칸, 세로 3칸으로 구획했다. 목재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지름 12㎝인 구멍을 뚫고 뾰족하게 깎은 기둥을 끼워 고정했다. 기둥은 중앙에 4개, 외곽에 12개가 설치됐다.

 

Wooden Water Storage from Baekje period



이 목곽고는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조선시대에는 돌로 쌓은 우물로 개축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금까지 위례성에서는 백제시대 유물이 여러 차례 출토됐으나, 백제의 유구(遺構·건물의 자취)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충청남도역사문화원 관계자는 "목곽고에서 눈에 띄는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면서도 "대형 백제시대 목곽고가 확인됨에 따라 규모가 작다고 알려진 천안 위례성을 추가로 연구하고 조사할 필요성이 생겼다"고 말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148호인 위례성은 서울대 인문학연구소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이 1989년부터 2010년까지 다섯 차례 발굴조사를 진행해 성곽의 전반적 현황과 서문 터를 확인했다.
psh59@yna.co.kr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