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립문화재연구원6

국립지방문화재연구소가 국립지방고고연구소가 되는 바람에 빚어지는 촌극 국립문화문화재연구원은 산하 7곳 지방연구소를 두고 있으니 그 내력과 소장 그리고 그네들 이른바 전공은 아래와 같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황인호 - 고고학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임승경 - 고고학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이은석 - 고고학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유은식 - 고고학 국립중앙문화재연구소 (전임, 현재 공석) 문재범 - 고고학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 김지연 - 미술사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 최인화 - 고고학 이 중에서 김지연만 미술사인데 저 친구 문화재청에 입소해서는 발굴 현장 동원되는 바람에 고고학 조사원 자격 기준을 획득한 고고학도이기도 해서(본인은 고고학으로 분류되는 일을 싫어한다는 후문도 있다.) 실제로는 고고학도로 소장을 하고 있다. 이걸 보면 지방연구소는 모조리 고고학도 전유물임을 본다. 이뿐만 아니다... 2023. 9. 19.
세계유산 전문가 한 명 없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문화재청 산하 책임운영기관인 국립문화재연구원 산하 7개 지방연구소 중 하나다. 그것이 커버하는 지역은 경주를 뛰어넘어 놀랍게도 대구 경상북도 전역이다. 그것이 수행해야 하는 일은 국립문화재연구원 지역 본부인 까닭에 연구원이 수행하는 일들 중에서도 대구경북지역과 연관된 모든 것이어야 한다. 이것이 그것이 존재하는 이유이며 당위다. 그렇다면 본원에서 하는 일이란 무엇인가? 그 조직 편제를 봐야 하는데 고고연구실·미술문화재연구실·건축문화재연구실·보존과학연구실·복원기술연구실·자연문화재연구실·안전방재연구실이 있고, 또 기타 연구기획실이 있다. 따라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저러한 일 중에서 지역이 아니면 하기 힘든 저런 일들을 대행하거나 독자로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저렇게 다.. 2023. 9. 15.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전략연구원으로 개편해야 한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간판만 바꾼 국립문화재연구원은 그 직속으로 1과 7실 1팀이 있고, 또 이와는 별도로 문화재보존센터라는 데가 있으며, 전국 요소에 지방연구소로 7곳을 운영 중이니 경주 나주 부여 가야 중원 서울 완주가 그곳인 매머드 조직이다. 그 예산은 국립박물관 전체와 맞먹는다. 그 기능과 관련해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연구·발굴·보존·복원하는 국가 기관으로, 우리 전통문화유산을 조사하고 연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하면서 "문화유산·자연유산의 연구·조사·개발 등 관련된 종합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국가 기관이며, 책임 운영 기관이자, 국가 연구 개발 사업 수행 기관"이라고 소개한다. 본소 직속 두 개 과란 행정운영과와 연구기획과를 말하며, 7실은 고고연구실·미술문화재연구실·건축문화재연구실·보존과학연.. 2023. 9. 6.
건축의 독무대 국립문화재연구소 여기선 김연수 현 원장이 빠졌는데 이름이 연구원으로 바껴서인지 아니면 현직이라선지는 모르겠다. 연구소는 문화재연구실에서 뿌리를 찾는데 그 창설은 1960년대 말이라 국립박물관에 있던 김정기가 넘어옴으로써 시작을 알린다. 그 오양붕을 보면 두드러진 특징이 드러나는데 건축 우위 혹은 그 독패 시대가 상당히 오래 지속됐다는 점이 그렇다. 장기집권한 김정기 이래 장경호 김동현에 이르기까지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은 쪽도 쓰지 못했다. 왜 그럴까? 저들이 실은 고고학 영역까지 다 장악한 까닭이다. 한국 국가 고고학은 실상 고건축이 개척했고 저들이 실상 한국고고학을 개척한 사람들이다. 그 아성을 깬 이가 조유전. 하지만 이내 그 자리는 도로 건축으로 돌아갔으니 그의 정년퇴임과 더불어 당시 마흔아홉 새파란 기술고시 출신.. 2023. 8. 8.
통권 100호 맞은 문화재전문 잡지 《文化財》 현재는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연 네 번 발간하는 문화재 전문 잡지 《文化財》가 1965년 제1호를 낸 이래 58년 만에 통권 100호를 냈다. 창간 때는 문화재관리국이 발간하던 이 잡지는 1999년 제32호를 시작으로 지금은 국립문화재연구원으로 간판을 바꾼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내기 시작했다. 중간에 우여곡절은 없지 않아 건너 뛴 해도 있었으니, 원칙은 매년 1호씩 간행하다가 2008년에 접어들어 반년간지로 개편하고 2009년 제43호 이래 계간지 체제로 바꾸어 오늘에 이른다. 1997년 제30호(1997) 이후에는 컬러판을 적용한다. 창간사는 당시 문화부장관 권오병權五柄 이름으로 작성했으니 “선전계몽지宣傳啓蒙誌를 발간하여 세상에 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연구의 체계화를 도모한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 2023. 7. 11.
복원에 성공했다는 녹색 전통 안료 동록銅綠 저 소식을 우리 공장에서도 국문과 영문 각각 제공했으니 아래가 그것이라 단청에 쓰이다 사라진 녹색 분말…전통 안료 '동록' 복원했다 송광호 / 2022-08-30 11:27:00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년부터 연구…문화재 원형복원 탄력 기대 단청에 쓰이다 사라진 녹색 분말…전통 안료 ′동록′ 복원했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목조건축물 단청에 녹색 안료로 자주 사용되는 인공 무기안료 ′동록′(銅綠)을 전통 제법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 k-odyssey.com Dongrok (copper green rust)', which was used in Dancheong, has vanished but been reproduced 연합뉴스 / 2022-08-30 .. 2022. 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