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돼지사육4

돼지와 멧돼지 돼지와 멧돼지는 겉모습이 엄청나게 다르기 때문에 둘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집돼지와 멧돼지는 같은 종 (Sus scrofa) 이다. 멧돼지 모습은 집돼지도 자연으로 돌려보내면 다시 복원된다. 반대로 멧돼지도 몇 세대에 걸쳐 계속 가둬 키우면 집돼지 모습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멧돼지와 집돼지는 서로 교배하면 당연히 번식 가능한 후손이 나온다. 같은 종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야생동물을 사육하면서 겪는 문제 중에 사육하는 동물의 야생종이 자연에 존재하느냐 아니냐가 있다. 예를 들어 소의 경우 사육이 정착한 시기가 되면 야생소는 거의 멸종단계에 들어갔다. 따라서 극히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지금 존재하는 소는 모두 최초로 사육된 소의 후손이다. 이는 말도 마찬가지이다. 말 역시 사육마가 나온.. 2023. 10. 11.
인구밀도와 관련이 있었다는 돼지사육 최근 중국 쪽 동물고고학 보고를 보면, 돼지 사육은 전세계적으로 볼 때 근동지역과 중국에서 최초로 시작된 것은 확실하다.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황하유역과 장강 유역, 두 군데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한것 역시 분명해 보인다. 동물사육에 있어 중국은 동아시아에서 다른 나라들보다 훨씬 빨리 시작되어 완성된 농촌사회 성립도 그만큼 빠르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사육동물이 외부에서 유입된데 비해 돼지만큼은 중국에서 처음 사육된 것이 확실하다고 한다. 그런데-. 이 황하유역 돼지와 장강 유역 돼지가 사육방법에 있어 상당히 다른 모습으로 시작했다는 것이 지금 통설이 되겠다. 우선 황하유역 돼지는 일찍부터 우리에 가두어 사육이 시작된 데 반해 장강유역에서는 우리에 가둔 사육이 황하유역보다 상당히 늦게 개시된 것으로 보인다는 .. 2023. 10. 11.
돼지: 우리에 키울 것인가 놔서 기를 것인가 필자가 인도에 가서 보고 제일 황당했던 것 중의 하나는 키우는 돼지가 우리에 있는 게 아니라 온 마을을 돌아다닌다는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온 동네를 다 뒤지고 다니면서 주로 쓰레기 통을 섭렵해서 먹고사는 것 같았다. 공식적으로 인도인들은 고기를 안먹는 채식주의를 표방하다 보니 이 돼지는 잡아먹는 게 아니라고는 하지만 과연 그럴지? 필자가 보기엔 아주 오랜 옛날부터 이렇게 돼지는 놔서 키우는 것 같았다. 최근에 돼지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돼지를 우리에 가둬 키우는 것보다 개처럼 놔서 키우는 전통이 있는 지역이 상당히 넓다는 것을 알았다. 유럽만 해도 산업혁명이 시작되기 전에는 모두 돼지를 놔서 키웠다고 하니 심지어는 도시에도 거리마다 싸돌아다니는 돼지 천지였다는 이야기라. 돼지를 우리에 가둘 것인가 아니.. 2023. 10. 10.
돼지 사육이 늘면 사슴 고기 소비가 줄어든다 중국의 동물고고학 보고를 보면 사슴 뼈가 줄어들면서 돼지 뼈가 늘어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 둘은 서로 대체재였다는 이야기다.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슴이 줄어들어 돼지를 키우기 시작했거나, 돼지를 키우면서 사슴 사냥을 할 필요가 없어졌거나 그렇다. 우리나라 발굴현장에서는 상당히 후대까지 사슴뼈가 많이 나오는데 돼지 사육이 상당히 후대까지도 보편화하지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고구려 수렵도에서 사슴 사냥하는 모습을 보면서 호쾌하게 느끼지만, 이 그림은 당시 고구려에 돼지 사육이 활발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말해준다.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돼지는 주로 제사와 관련한 기록에서 나오는데, 돼지 사육은 제사를 위해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다. *** Editor's Note *** 동물 곤충이라면 환.. 2023.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