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남발되는 "~~학"

by 신동훈 識 2025. 3. 29.
반응형

 
조선유학을 보면 유난히 ~~학이라는 말이 남발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퇴계학, 율곡학, 다산학이 있더니 우암학이 나오고 삼봉학까지 나온 것 같다. 

필자는 유학에서도 역시 문외한이다. 

옛날로 치자면 어깨 넘어 글을 익힌 서당 마당쇠 정도 될 것이다. 

하지만 벌거벗은 임금님을 발고한 것은 철없는 어린아이 아니던가? 

필자가 솔직히 우리 조선유학을 평하자면

오백년 동안 나온 각종 사설을 긁어모아 편집을 해도 

조선유학 전체에 "~학"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빠듯하다는 말이다. 

그 정도로 조선유학에는 독창성이 없다. 

이 말을 하면 아마 잘 모르는 놈이 설친다던가 이렇게 치부할 수도 있겠지만

필자가 위에 적어 놓은 유학자 중에 과연 독립적 "~학"자를 붙일 만한 독자적 입론이 있는 양반이 

저 안에 있는지 냉정하게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기 바란다. 

퇴계학, 율곡학, 다산학, 우암학, 삼봉학 등등

이런 것을 줄줄이 만들기 이전에 조선유학에 정말 필요한 것은 

도대체 조선유학만의 고유한 주장이 뭐였는지

그것만이라도 한 번 제대로 도출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조선유학 전체가 송학의 하드카피인데 

그 안의 구성물에 독립적 "~학"이라는 이름을 붙여봐야 
그게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