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다산을 냉정히 다시보자

by 초야잠필 2024. 8. 13.
반응형
'실학자 이야기, 콩 한 알로 스무 걸음' 중 '콩 한 알, 이십 걸음'. 성호 이익 이야기.(사진=경기문화재단)

 
언젠가 여기 여러 번 쓴 것 같지만, 

우리나라 실학의 역사적 의의는 

밑바닥부터 다시 봐야 할 시기가 결국 올 것이다. 

실학을 한국사에서는

소위 말하는 자주적 근대의 맹아로 설정되어 있는데, 

실학은 근대적 맹아가 아니다. 

단언컨대 우리나라 실학자 중에는 
근대적 맹아로 볼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모두 기존의 성리학자의 체계 속에서 파악 가능한 인물들이며 

그 사상 역시 성리학에서 파생된 것으로 

전혀 근대적이 아니다. 

합리론과 근대적 맹아를 혼동해서는 안된다. 

합리적 사고는 근대적 맹아가 아니라, 

성리학적 사유에서 이미 배태된 개념이며 

성리학적 사유를 그 자체 근대적 맹아로 해석할 수는 없다. 

다시말해서 이들 실학자 사이에서 합리적 사유의 흔적이 나온다 해도, 

그것은 근대적 맹아가 아니라, 성리학적 사유 안에서 나올 수 있는 수준의 언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는 말이다. 

다산-. 

위대한 학자임에는 틀림없지만, 

근대적 맹아, 근대적 사유의 학자로는 볼 수 없다. 

필자가 보기엔 성리학자의 가장 마지막 단계의 학자라고 위치시키는 것이 맞고

조선성리학의 황혼에 해당하는 사람이다. 

다산이 이럴진데 그 외 다른 실학자들은 모두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무엇을 우리가 근대의 맹아라고 부를 것인가? 

이것부터 먼저 냉정한 정의가 있어야 비로소 실학을 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구체제를 비판했다고 해서 바로 근대의 맹아라는 타이틀을 안겨줄 수는 없다는 말이다. 

당장 조선시대 구체제를 대체하고 출현해야 할 실학적 토지제도를 보라. 

그것이 어떻게 근대적이라는 말인가? 

아래에 링크시킨 글에 실학자의 토지제도 개혁론이 있다.

근대적인지 한번 다시 봐주기 바란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71_0070_0040_0020_0020

우리역사넷

농업 중심의 개혁론 18세기 전반에 농업 중심의 개혁론을 제시한 실학자들은 농촌 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농민의 입장에서 토지 제도를 비롯한 각종 제도의 개혁을 추구하였다. 이 실학자들을 경

contents.history.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