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이 삼킨 거리두기…이태원·홍대·강남 인파로 북적
2020-10-31 19:17
클럽 문 닫자 주점 등으로 몰려…"몇 달 새 가장 사람 많은 날"
핼러윈이 삼킨 거리두기…이태원·홍대·강남 인파로 북적 | 연합뉴스
핼러윈이 삼킨 거리두기…이태원·홍대·강남 인파로 북적, 임성호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0-10-31 19:17)
www.yna.co.kr
꼰대라 해도 할 말은 없지만 나 역시 저와 같은 광란에 거부감이 많다. 언제부터 서양호박귀신 놀음이라고 하는 그런 반발 심리 말이다.
글타고 어찌 하겠는가? 지들이 좋다고 지들이 즐긴다는데 그렇다고 조선시대처럼 신유박해를 할 수도 없잖은가? 하긴 bts 두고 세계가 광분하는 일도 저런 관점에서 보면 웃기기는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https://blog.kakaocdn.net/dn/dLvn1S/btqMdDZNjRJ/PKSoT1UrR48O0D2BnPoH4K/img.jpg)
혹자는 저에 견준 우리네 전통 명절의 약화를 한탄하기도 하거니와 오늘도 그런 소리가 나와 냬가 이르기를
변화에 실패한 명절이 도태됨은 당연이지 아니한가 했다.
전통이 정말로 있기나 한 것인가 하는 원초적 반론은 차치하고 그것이 적어도 수백년 이상을 함께한 것이라면 그런 범주에 넣을 수 있으리로대 그 전통이 살아남는 길은 오직 변화가 있을 뿐이다.
원형이라는 이름으로 안주 고정 박제하는 전통은 외면 도태 사멸을 피할 길 없다. 한식이 그렇게 밀려났고 단오 역시 강릉단오제로만 편린을 남겼을 뿐이다.
![](https://blog.kakaocdn.net/dn/woBiw/btqMfiAnbsO/AB3Jkn8zuZlqgIM7dj71v0/img.jpg)
언젠간 말했듯이 종묘제례악도 필요하다면 피아노 바이올린 마다할 리 없다. 판소리 마당에 조수미도 필요하고 나훈아도 불러야 하며 임영웅도 서야 한다.
할로윈? 공포영화 가장 잦은 소재가 되는 괴기물이기도 하다. 그것이 매력포인트일 수도 있다.
저 광란이 무엇인지 집어말할 순 없으나 근간엔 카니발에 대한 욕구 아닌가 한다.
카니발은 피다. 피를 증오하면서도 피를 보고자 하는 변태심리다.
한국사를 돌이키면 이 카니벌 문화가 고려왕조 패망과 더불어 억제 소멸했다.
나는 카니벌 문화 예찬론자는 아니나 피를 뽑아내는 출구는 있어야 한다고 본다.
'ESSAYS &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열은 끝났다 이번엔 호박귀신? (0) | 2020.11.01 |
---|---|
잊혀진 계절 vs. 잊힌 계절 (2) | 2020.10.31 |
한국불교학의 고질 (0) | 2020.10.31 |
별자리까지 추운 하남정사 (1) | 2020.10.30 |
갑자기 좋아진 몸매란 없다 (2) | 2020.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