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 국립기상박물관은 백수 코 앞에 둔 춘배 소개요 이곳 성북선잠박물관이라는 데는 이제 이름만 남은 조폭답사반 어느 단원 일갈이 아니었나 싶은데 암튼 장대비 쏟아지는 우중을 뚫고서 찾았으니
날씨 때문이기도 하려니와 내가 문을 박차고 들어가니 프론트 젊은 여성 두 분이서 나를 보고 놀래는지라 애초엔 아! 관람객이 없는 이런 누추한 데를 사람이 찾는구나 이런 심정 아녔나 싶은데
젠장, 입장료 천원이 있는데 그걸 낼 생각을 않고서 전시실로 직행하려 하니 황당해 하는 것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OA13g/btsnvY5SJ54/lo8u4ZcUploBzVGCLSQC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P1dtB/btsnqu58vhe/q7CespCdYR4BwwL0F9arSk/img.jpg)
머쓱해서 천원씩 받아 어디다 쓰냐 괜히 받아치니 혹 성북구민 아닌가 물음을 보니 아 성북구만은 공짜인갑다.
찾고 보니 웬걸? 한양도성 비름빡 밑이요 간송박물관 인근 아닌가? 이곳을 지나치길 수십 번 수백 번일 텐데 바로 예 이런 데가 있었다니 괜히 또 쪽팔린다.
암튼 들어설 땐 혼자였으나 대략 삼십분만에 후다닥해치우고 나서려는데 웬걸? 연세 지긋한 분들이 떼로 들이닥친다. 아 이 박물관 인기가 있는 갑다 한다.
각설하고 나서는 길에 이곳 학예사 부여잡고는 궁금증 몇 가지를 물었으니 성함은 전서령이라 하는 젊어 뵈는 분인데, 교육 담당이시랜다.
![](https://blog.kakaocdn.net/dn/DKBGg/btsnvJA9oUo/SXEzy7DpRFqf0atLgVQy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WYqf/btsnuZkfzTp/RM6y73CskD5uVnYfYkoeI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9nin/btsnqUjsBv3/U5mbCQogedsqnJpKXe2oy1/img.jpg)
내가 명함을 내미니 예서도 똑같은 반응이라 뭐 하는 뇐네인가 하는 그런 표정 역력하다. 이러니 늙으면 죽어야 한다는 말 만고불변한다. 그렇다고 진짜 죽고 싶겠니?
암튼 이 업계서 김태식이라는 이름이 지닌 무게는 새 깃털을 넘어 망각으로 갔다.
하긴 내가 기자로 물었겠는가? 시민의 한 사람으로 당당히 들어서 시민권을 행사했다. 이제 나는 기자가 아니라 국민 시민으로 이런 물음을 더 당당히 하리라.
암튼 이 선잠박물관은 인근 백미터 지점에 선잠단 터가 있음을 빌미로 선잠, 곧 누에농사를 특화할 요량으로 2018년 4월 10일 성북구립 공립박물관으로 개관했다.
![](https://blog.kakaocdn.net/dn/L5zwr/btsno7qngRR/KNa5uHdNbSKFwk5fKGg45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W8hAt/btsnuYr6gLT/xHcmu3yakbtdxBtCKrdmxk/img.jpg)
그것이 인가된 곳임을 이런 명패로 보증한다.
박물관 설립 논의는 박원순 서울시장 시절인 2017년 성북역사문화지구로 지정 고시될 즈음에 논의되기 시작해 마침내 결실했다.
애초엔 실크박물관이라는 이름을 썼지만 나중에 지금 이름으로 바뀌어 그 이름으로 개관했댄다.
현재 담당 학예사는 두 분이 있어 각각 전시와 교육을 담당한댄다. 두 분 모두 임기제라 5년 단위로 임용 심사를 받아야 하는 모양이라 듣자니 성북구 전체를 통털어 다섯 분 학예사 모두가 이렇댄다. 학예직의 고용 안정성 문제는 이 블로그에서도 이서현 씨가 여러 번 논급한 대로 심각한 현안이다.
이 작은 구립박물관에 전담 관장이 따로 있겠는가? 구청장이 관장이며 한형주 라는 분이 명예관장 이시라는데 듣자니조선시대 의례 특히 선잠 관련 논문이 많단다.
성북구 행정문화국 문화체육과 소속이며 공사는 2017년 6월 시작했다는데 신축이 아니라 청소년공부방 겸 노인정으로 쓰던 건물을 리모델링한 것이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lc1Zv/btsnujpu4Gs/nu09CTjrsAJCeloqwmOCR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QLJQ/btsnpjcZIH2/4pEnmd0kgEWjp0LdRe0x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mEwt/btsnvpQuOKx/Kl4GdpLaIHpXomWj7p5W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8gG9q/btsnrvDKG3z/JsrPcnlE9sqKMk80n3dIK1/img.jpg)
놀라운 점은 200군데 이상을 헤아리는 전국 공립박물관 중 전시실과 부지 모두 가장 작댄다. 부지 면적이 393제곱미터라는데 아마 이것이 건물 그 자체 일층 바닥 면적일 것이다.
전시실은 삼층이나 되지만 아담아담해서 휙 둘러보는데 삼십분이면 족하다.
이상 외양과 개관의 개략이며 내부는 자리를 달리해 들어가 보기로 한다.
'문화재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주 회암사지 楊州檜巖寺址 Hoeamsaji Temple Site in Yangju (0) | 2023.07.16 |
---|---|
[여행답사 자료정리論] ③ 다녀온 데는 구글링으로 더 친숙해져야 (0) | 2023.07.14 |
코펜하겐이 선사한 그리스 로마 너머 유럽문명 (0) | 2023.07.13 |
국립기상박물관이 된 서울기상관측소 (0) | 2023.07.12 |
국가유산기본법에 대한 생각 두번째 - 국제화에 대한 의문 by Eugene Jo (0) | 2023.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