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박물관 현황과 연혁] 대한민국 1호 공립박물관 인천시립박물관

by taeshik.kim 2024. 3. 12.
반응형

 
 
기초자료가 2016년 개관 70주년 기념해 이 박물관에 펴낸 책자들이기에 이후가 업데이트되지 않았다. 이는 추후 보강키로 한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이후 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갖기 어려웠던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박물관 건립을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28세의 젊은 미술학도였던 이경성은 일제에 의해 흩어져 있던 여러 자료들을 동분서주하며 수습하였다.

미군정과 협의를 통해 부평 조병창에 버려져 있던 중국 철제 유물을 미군 트럭에 실어오기도 하고,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족박물관에서도 유물을 빌려와 박물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박물관 건물은 인천 중구 송학동(현재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 자리)에 있던 옛 독일계 무역상사인 세창양행의 사택으로 결정되었다.

이경성은 인천 시내 곳곳을 다니면서 건축 자재를 구하고 직접 낡은 건물을 수리해 개관 준비를 해, 그해 10월 31일 초대 관장으로 취임하였다.

당시 임홍재 인천시장이 선출된 것이 10월 6일인 것을 감안하면 인천시립박물관의 개관 작업이 요즘으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신속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세창양행 사택
처음 박물관이 문을 열었던 건물은 개항 이후 독일계 무역상사였던 세창양행의 칼 발터(Carl Walter)의 소유로 지어져 ‘세창양행 사택’이라 불리던 건물이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패전하면서 적산 가옥이 됐고, 1922년 인천부가 매입해 그해 9월 1일 인천부립도서관을 개관했다. 

1941년 4월 10일 도서관이 율목동으로 이전한 뒤, 이 건물은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사용되기 전까지 ‘인천향토관’이라는 이름의 전시관으로 사용되었다.

세창양행 사택은 지금의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이 서 있는 자리에서 남향으로 지어져 인천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었다.

벽돌 구조의 단층 건물로 회칠을 한 외벽에 남쪽으로 9개의 아치로 구성된 회랑을 설치하고 붉은 기와지붕을 얹어 외관이 매우 뛰어났다.
 

야외 중국 철종들



 
1945. 10. 13. 박물관 개관 준비 착수
1945. 10. 31. 초대 관장 이경성 취임
1946. 1.~ 1950. 관원을 위한 교양교육 연구회 개최
박물관(이경성)·동양화 이야기(이건영)·미학노우트(이경성)·정치와 시인(이영식)·음악론(최성진)·사진의 역사(주문현) 등 
1945. 12. 1. 평양 조선중앙력사박물관 개관
1945. 12. 3. 서울 국립박물관 개관(조선총독부박물관 인수)
1946. 4. 1. 인천시립박물관 개관(우리나라 최초의 공립박물관, 전시품 364점)
1946. 4. 25. 국립민족박물관 개관
1946. 10. 11. 임시휴관 후 신장 재개관
국립박물관, 국립민족박물관, 송석하, 장석구 소장 유물 추가 전시
1946. 12. 17. 인천박물관협의원회 창립
1947. 1. 인천부립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박물관보 고적. 발간
1947. 5~6. 경주고적조사 실시
단 장: 이경성
조사단 : 학술반(이영식, 이경성), 미술반(이건영, 이무영, 최재석), 사진반(서일남)
1947. 7. 1. 경주고적답사보고전 개최
1949. 5.~10. 인천 고적조사
1949. 인천향토사료1·2 발간
1949. 8. 5. 중심성지衆心城址 사적비 박물관으로 이관
1949. 8. 15. '인천시립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1950. 6. 27. 6.25전쟁 발발로 무기 휴관에 들어감(약 2년 10개월간), 소장 유물 소개疏開 보관
1950. 9. 15. 인천상륙작전 포격으로 박물관 건물 소실, 중심성지 사적비 파괴
1953. 4. 1. 인천시립박물관 이전 복관(인천시 중구 송학동 1가 11번지)
1953. 4. 1~4. 30. 제1회 고서화전 개최, 복관 기념 무료 관람 실시(20일간)
1953. 5. 21. 시립도서관에서 보관 중이던 유물 반입
1953. 6. 17. 인천의 고적 원고 완성
1953. 6. 23. 소장 자료 재정리
1953. 9.~12. 부평·문학·남동 방면 고적 조사
1954. 1. 1 미군 제21항만 사령부 협조로 구舊 박물관 자리에 남아있던 중국 철제 범종 및 수형 대포 이전
1954. 4. 7. 제2대 관장 유희강 부임
1954. 9.~12. 인천 지역 고적 조사
1956. 2. 문학, 부평, 서곶, 남동 방면 고적 조사
1956. 4. 주안동 및 학익동 고인돌 조사
1956. 4. 30 개관 10주년 기념 개인소장품전시회 개최
1957. 11. 30. 주안동 고인돌 발굴(김원룡, 이경성 참여)
1958. 5.~11. 봉일사지, 청량사지, 연수동 고총 조사
1961. 6. 23. 제3대 관장 장인식 부임
1962. 7. 13. 제6대 관장 우문국 부임
1962. 11. 박물관 개수 기념 국립박물관 소장 국보급 유품 특별전시회 개최
1963. 1. 15. 영종도 운남동 고인돌 발굴
1963. 5. 광주시립박물관 개관 
1963. 6. 영종도 운남동 고인돌 발굴
1965. 11.~1966. 5. 경서동 녹청자 도요지 발굴 조사(국립중앙박물관과 합동 실시)
1974. 6. 27. 우현 고유섭 기념비 제막
1978. 7. 부산시립박물관 개관
1981. 1. 31. 박물관 첫 도록 '圖錄' 발간(유물 151점 선별 수록)
1981.  '인천직할시립박물관'으로 명칭 번경
1982. 4. 호암미술관 개관
1987. 12. 30. 이전 개관을 목표로 박물관 건물 신축 착수
1989.12. 30. 인천시립박물관 신청사 완공
1990. 5. 4 인천시립박물관 이전 개관(인천시 연수구 옥련동 525번지)
1992. 9. 2. 우현 고유섭 동상 제막
1992. 11. 23.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의거 문화부 등록
인천광역시립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1995. 1. 1. 인천광역시립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1995. 6. 1. 초대 관장 이경성을 명예 관장으로 위촉
1996. 6. 경기도박물관 개관
2001. 2. 1. 박물관 자원봉사단 출범
2002. 5. 서울역사박물관 개관
2004. 4. 1. 임시 휴관, 박물관 리모델링 착수
2006. 7.10. 박물관 리모델링 완료, 재개관
2007. 12. 7. 송암미술관 분관 편입
2008. 1. 28. 검단선사박물관 분관 편입
2012. 2, 27. 한국이민사박물관 분관 편입
2014. 1. 1. 컴팩스마트시티 분관 편입
2016. 4. 1. 인천시립박물관 개관 70주년

 
*** related articles ***  

 
이십년만에 다시 조우한 대한민국 넘버원 공립박물관 인천시립박물관

이십년만에 다시 조우한 대한민국 넘버원 공립박물관 인천시립박물관

휴대폰 보며 걷다 도로 턱에 걸려 평지낙상. 무르팍에 금이 가 철심 박아 수술하고 반깁스한 지인 골려주려 인천을 행차했으니 발다닥 간지르며 한참을 골려먹는데 이 친구 목석 불감증인지 아

historylibrary.net

 
 
미술사가 석남石南 이경성李慶成(1919~2009)의 학적 편력

미술사가 석남石南 이경성李慶成(1919~2009)의 학적 편력

대한민국 제1호 공립박물관인 인천시립박물관 초대관장이며 이화여대 교수와 홍익대 교수를 거쳐 훗날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역임하는 그의 회고록 겸 수필집인 《어느 미술관장의 회상》(시공

historylibrary.net

 
 
인천시립박물관의 1947년 경주고적조사

인천시립박물관의 1947년 경주고적조사

인천시립박물관 개관 70주년 기념 도록 를 보다 재미있는 장면이 있어 몇 자 적는다. 21쪽에 보니 1947년 5월에 있었던 '경주고적 연구조사'에 관한 기록이다. 5월 09일 자 '자유신문'에 '인천박물관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