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필사본이 주류인 초기 고사기

by 초야잠필 2024. 3. 7.
반응형

일본의 고서들은 오래된 것은 대부분 필사본이다. 

이건 한국하고 좀 많이 달라서 우리가 무심코 넘기기 쉬운데

일본의 경우, 임란 이후 에도막부가 열리면서 목판이건 고활자본이건 인쇄본이 나오기 시작하며

그 이전은 대부분 필사본이다. 

한국의 경우를 보면, 

삼국사기 삼국유사 현존하는 고본은, 전부 인쇄본이다. 
 

삼국사기. 옥산서원 소장본이다. 인쇄본이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 

고사기 일본서기는 필자가 아는 한 에도시대 이전 인쇄본은 없고 전부 필사본이다. 

아래를 보자. 

『古事記』の原本は現存せず、いくつかの写本が伝わる。成立年代は、写本の序に記された年月日(和銅5年正月28日(ユリウス暦712年3月9日))により、8世紀初めと推定される。

現存する『古事記』の写本は、主に「伊勢本系統」と「卜部本系統」に分かれる[19]。

伊勢本系統
現存する『古事記』の写本で最古のものは、「伊勢本系統」の南朝: 建徳2年/北朝: 応安4年(1371年)から翌、南朝:文中元年/北朝:応安5年(1372年)にかけて真福寺[注釈 4]の僧・賢瑜によって写された真福寺本『古事記』三帖(国宝)である。奥書によれば、祖本は上・下巻が大中臣定世本、中巻が藤原通雅本である。道果本(上巻の前半のみ。南朝:弘和元年/北朝:永徳元年(1381年)写)、道祥本(上巻のみ。応永31年(1424年)写)、春瑜本(上巻のみ。応永33年(1426年)写)の道果本系3本は真福寺本に近く、ともに伊勢本系統をなす。

卜福部本系統
伊勢本系統を除く写本は全て卜部本系統に属する。祖本は卜部兼永自筆本(上中下3巻。室町時代後期写)である。

그러면 고사기는 죽도록 필사만 했을까? 

아니다. 물론 인쇄도 했다. 언제부터? 

에도시대 부터이다. 

江戸時代初期の寛永21年(1644年)に京都で印刷による刊本『古事記』(いわゆる「寛永古事記」)が出版され、研究が盛んになった。出口延佳が『鼇頭(ごうとう)古事記』を貞享4年(1687年)に刊行したほか、『大日本史』につながる修史事業を始めた徳川光圀(水戸藩主)にも影響を与えた[23]。

장구한 기간을 필사되다가 마침내 인쇄된 고사기. 1644년에 인쇄되었다.

 
우리는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우리 고문헌이 인쇄본이라는 데 무덤덤하다.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일본과 비교하면 인쇄본이 주류가 된 문헌사는 오히려 특이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일본은 에도시대 이전까지 필사본 책이 주류였기 때문이다. 

일본이 조선 전기 한국에 틈만 나면 와서 대장경 인쇄를 해달라고 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일본이 필사본이 주류였다가 어느 시점에 고활자인쇄가 되고 목판이 개판되어 성행한 시기를 주의하지 않으면

도대체 왜 일본이 툭하면 나타나 대장경을 달라고 난리를 쳤는지 이해를 못하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