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황하문명과 잡곡

by 초야잠필 2024. 2. 11.
반응형

기장



황하문명과 요하문명은 잡곡문명이다. 

이건 모두 잘 알고 있지만 우리는 그 사실을 종종 잊는다. 

한반도에서 쌀농사 하면 제대로 된 농사, 

잡곡농사 하면 쌀농사가 안 되는 곳, 그래서 척박한 땅, 

역사적으로는 쌀농사가 확립되기 이전의 원시적 농경으로 본다. 

뭐 딱이 틀릴만을 아닐지 모르겠지만

여기서 "원시적 농경"이란 부분이 틀렸다. 

필자가 생각컨데, 

십이대영자의 주인공, 

정가와자의 주인공, 

그리고 심지어는 고조선까지도 

그 기저 문명은 쌀이 아니라 잡곡이었다고 본다. 

고조선문명이 자리잡은 평양일대는 아마도 쌀 농사도 있었을것 같기는 한데

그 형태는 중국으로 본다면 황하유역과 장강 유역사이의 점이지대, 
소위 말하는 회하 유역의 혼합농경으로 쌀과 잡곡이 골고루 경작되는 형태가 아니었을까 한다. 

한국에서 장강 유역의 도작농경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지역은 한반도 남해안 일대로서 

바다를 건너 일본으로 가면 보다 도작에 적합한 기후로 

도작이 전해진 한반도보다 오히려 일본에서 도작이 더 쉽게 경영되고 더 잘 경작되어

정작 도작문화가 안정적으로 정착된 곳은 그쪽이었을 수도 있겠다. 

한반도 일대는 전체적으로 보면, 장강일대보다 위도가 높고 

오히려 위도 상으로는 진령-회하선의 도작과 잡곡 지대의 완충지, 혼합농경지역에 더 가까와서 

중세까지도 벼 농사는 잡곡농사를 완전히 압도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벼농사와 잡곡농사를 일본의 시각에서가 아니라 

한반도의 시각에서 봐야 한다. 

중국의 시각에서가 아니라 

한반도에서 봐야 한다. 

잡곡농사가 벼농사의 변두리 농사, 

도작 이전의 원시적 농경이 아니라 그 이상의 완성된 형태로 봐야만이 
한국사의 특징이 보인다고 본다. 

필자의 생각에는 한반도는 고대시기 한반도 전역이 중국으로 친다면 진령-회하선 주변의 혼합농경지대로

도작과 잡곡이 골고루 경작되었고, 

평양 이북은 그나마 도작 없이 잡곡만, 

그리고 장강유역과 같은 도작과 보다 가까운 형태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일본열도에서 가능했다고 본다. 

 
*** previous article ***
 
쪄서 먹던 잡곡밥의 유습: 오곡밥

쪄서 먹던 잡곡밥의 유습: 오곡밥

필자는 일전에 쪄서 먹던 밥의 유습으로 약밥의 예를 들었다. 한가지 더-. 쪄 먹는 밥의 유습으로 들 만한 것은 오곡밥이다. 오곡밥은 지금은 밥솥으로 끓여 취사하는데 원래는 오곡밥은 쪄서 해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