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생충26

양평 청계산 계곡 칠흑에 걸려온 전화 "기생충이.." 칸 '황금종려상' 봉준호 "한국영화 100주년에 주는 선물"(종합) 빈부격차 블랙 코미디로 풀어낸 영화 '기생충' 주말은 매주 나한테 허여된 유일한 휴일이라, 이날은 만사 팽개치고 논다. 한데 어젠 어찌하여 계속 일진이 사나워, 마침 양평 어느 지인 팬션 개장식이라 해서 그쪽을 오가는 어제 토요일은 내내 이런저런 기사를 봐야 했다. 팬션이 자리한 청계산 아래 계곡으로 칠흑이 내릴 무렵 바베큐 파티 고기 냄새 흥건한 소나기마을로 휴대폰이 울린다. 우리 공장 영화 담당 1진이다. "부장, 방금 도연이한테 전화가 왔는데요, 기생충 팀 전원 폐막식 참석하라고 영화제 측에서 연락왔답니다. 본상 받나봐요. 불러다 놓곤 상 안 주는 일은 없어요. 백퍼 확실해요. 이러다 진짜 황금종려 받을지도 모르겠어요." 어찌 될지.. 2019. 5. 26.
모조리 kill될 뻔한 칸영화제 기사, 봉준호가 기생충으로 구하다 봉준호 '기생충',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종합2보)송고시간 | 2019-05-26 04:06한국영화 최초의 쾌거, "위대한 배우들이 이룬 성과"송강호 "대한민국 모든 배우한테 영광 바친다" 그저께인가 나는 칸영화제 소식을 전하면서 우리도 이젠 본전을 뽑을 때가 됐단 말을 했다. 그 본전이 꼭 황금종려상이어야 할까마는 그래도 이젠 받았으면 했다. 조금전에 끝난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 기생충이 큰 상을 받을 때를 대비해 칸 현지에 특파한 우리 공장 이도연 기자가 미리 작성해 놓은 기사 목록이다. 하마터면 저 기사 다 날아갈 뻔 했다. 쓴 기사가 쓸모없어져 버리는 일을 언론계 용어로 킬kill이라 한다. 글자 그대로 죽여버리는 일이다. 본선경쟁작 후보로 오른 기생충이 이렇다 할 수상을 하지 못하면, 다 없.. 2019. 5. 26.
칸영화제, 이젠 본전 뽑을 때 종반 접어든 칸 영화제…황금종려상 누구 품으로송고시간 | 2019-05-24 08:25봉준호 '기생충', 소식지 평점 최고점 어제 영화인 출신 어떤 문화인을 만난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칸 영화제 얘기가 나온 김에 내가 말을 꺼내기를 "이번에는 분위기가 좋다네요. 기생충이 일을 낼지도 모르겠습니다" 고 하니, 그 분이 대뜸 받아치기를 "뭐 언제는 수상 유력 아니었나?" 하기에 파안대소하고 말았다. 뭐 나도 이른바 문화 언저리에 20년 넘게 굴러먹다 보니, 모르는 바 아니나, 그래도 언제나 이맘쯤이면 기대를 하게 되는 것도 어쩔 수 없다. 솔까, 그 비싼 돈으로 칸까지 출장간 우리 기자들이 그렇다면, 이번에도 수상 가능성이 없다고 기사 쓰야겠는가? 우리 공장만 해도 20년 넘게 연속으로 칸 영화제 출장을 보내.. 2019. 5. 24.
1993년 보고된 참굴큰입흡충이 400년전 조선시대 미라서 검출 서울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가 바로 앞서 조선시대 미라에서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이라는 기생충을 확인한 사실을 소개했거니와, 언론에서는 이 소식을 아마도 내가 가장 먼저 소개한 기억이 있어, 당시 기사를 찾아 전재한다. 그 내력과 그 의미에 대해서는 아래 기사에서 어느 정도 충분히 설명되리라 본다. 2006.10.29 07:00:06 '93년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전 미라서 검출서울의대 채종일 교수팀 참굴큰입흡충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1993년에야 존재가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 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에서 검출됐다.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채종일 교수는 단국대의대 서민 교수,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 등과 함께 올해 4월6일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 2019. 3. 23.
[조선시대 미라-7] 미라는 보존해야 하는가 매장해야 하는가 (2)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 2회 분 연재에서 한 번은 미라 보존과 매장의 문제를, 또 다른 한번에서는 그간 우리 연구실에서 보고한 연구 실적을 간단히 언급했다. 이 중 두번째 분량은 본문에서도 썼던 바와 같이, 조선시대 미라가 단순히 흥미 영역을 넘어 명실상부 한 과학적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결국 조선시대 미라 안에 아직도 잔존한 과학 정보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윤리적인 문제만 해결된다면 조사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증명되었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싶었다. 오늘 이야기에서는 과연 어떤 "의학적 정보"가 미라 연구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 것인지 그 이야기를 하나 예를 들어 써보겠다. 때는 지금부터 13년 전. 2006년 4월. 지금은 국립박물관.. 2019. 3. 22.
개간, 산림파괴, 말라리아 (1)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말라리아 병원체는 현미경이나 써야 보이는 탓에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로 알기 쉽지만 실제로는 이는 원충류(protozoa)로서 기생충 질환의 일종이다. 말라리아도 기생충이니 생활사 (life cycle)가 있다. 말라리아 생활사를 보면 모기에 기생한 단계. 사람에 기생한 단계로 크게 나누어지고 사람에 들어와서도 간에 서식하는 단계, 적혈구에 서식하는 단계로 나누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말라리아는 반드시 모기에 물려야 감염된다. 사람과 사람 사이 감염은 없다. https://www.cdc.gov/malaria/about/biology/index.html 에서 전재. 지금도 열대지역 여행 때는 반드시 먹어야 하는 말라리아 약. 우리나라 학질*과 달리 열대.. 2019.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