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계유전4

[외치이야기-42] 유전자가 푼 EEF의 정체 미궁에 빠질 것 같은 EEF 정체도 빠르게 발전하는 고대 DNA 기술에 의해 마침내 돌파구가 열렸다. EEF에 관련하여 보고된 몇 개 연구가 있다. 소개해 보면-. 먼저 영국에서 발견된 중석기 및 신석기시대 인골에 대한 고대 DNA 연구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 영국의 중석기시대인은 유럽의 수렵채집민과 계통이 같은 반면, 같은 지역의 농경민을 대표하는 신석기시대인은 지중해를 따라 퍼져나간 EEF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이 연구대로라면 영국의 신석기인은 처음 레반트 지역에서 출발한 초기 농경민의 후예가 되겠다. 여기서 외치로 다시 이야기를 돌리면-. 외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전학적 분석이 시행되었는데, 부계유전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레반트 지역에서 출발한 초기농경민의 유.. 2025. 2. 2.
[외치이야기-33] 모계유전이란? 자 이제 이 그림을 보자. 여기서 아랫쪽에 빨간색과 파란색이 반반 들어 있는 것. 그리고 빨간색만 있는 것 이렇게 두 개가 보일 것이다. 여기서 여러분이 만약 남자라면 반씩 들어 있는 "Brother"여자라면 빨간색의 "Sister"다. 여기서 파란색이 바로 Y 염색체다. 빨간색은 X 염색체다. Brother가 반반 색이 있는 이유는 성염색체가 XY이기 떄문이다. 여기서 Y는 아버지한테서 오지만 X는 어머니한테서 온 것이다. 반대로 Sister는 빨간색만 있는데 성염색체가 XX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X하나는 아버지한테서 온 것이고 다른 X는 어머니한테서 온 것이다. 여기서 Y만 따라 올라가면 (왼쪽으로 파란색을 따라 올라가면) 그것이 부계유전이다.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 이런식으로 따라 올.. 2025. 2. 1.
[외치이야기-32] 부계유전의 역사적 의미 이 이야기가 무슨 뜻인가 하면, 다음을 보자. 조선왕실 계보다. 조선왕실 계보에서 조선의 왕은 오직 부계 아버지에서 아들로만 왕위가 전달된다. 그렇다면 이 모든 왕들은 부계 유전자 분석을 하면 모두 동일하게 나온다는 말이다. 태조 이성계와 고종은 부계 유전자 분석을 하면 동일하게 나오는 것이 맞다는 뜻이다. 아니, 전국의 모든 전주이씨는 부계 유전자 분석을 하면 이론적으로 모두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부계유전은 역사문화적으로는 가부장적 부계사회를 상징한다. 자 이번에는 영국왕실을 보자. 영국왕실은 여왕이 있다. 그러면 어떻게 될까? 찰스3세의 부계 유전은 필립공에서 왔다. 조지6세의 부계유전은 조지5세, 에드워드 7세, 알버트공으로 이어진다. 적어도 이 가계도를 보고 여기서만 이야기 하면, 찰스 3세와 .. 2025. 1. 31.
[외치이야기-31] 부계유전의 설명 필자가 집필하여 얼마 전 소개한 아래 책이 있다. 서울대 법의학연구소 이숭덕-신동훈 공저로 서울대출판부에서 펴낸 책이다. 이 책에 보면 "Human Identification"이라 책 제목에 되어 있다. Human Identification이 무엇일까?이 기법이 뭔고 하면, 쉽게 말해 친자감별, 부계유전, 모계유전 등 유전학적 기술이 여기에 포함된다. 간단히 설명해 보면 이렇다. 이것이 사람의 염색체다. 1번부터 22번까지를 상염색체라 하며우리가 흔히 성염색체라고 부르는 것이 X와 Y이다. 여성에게는 X가 두 개, 남성에게는 X 하나, Y 하나가 있다. 나머지 1번 부터 22번까지의 염색체는 모두 같은 것이 한쌍씩 있다. 따라서 22번까지 한쌍 = 44개그리고 성염색체 2개, 해서 사람의 염색체 수는 4.. 2025.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