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00 헤이안 시대 (3): 무가정권이 주는 그늘 앞에서 헤이안시대 문화수준은 한반도에 방불할 정도로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음을 이야기했지만, 왜 한반도에서는 일본의 문화수준을 낮게 보는 시각을 근세까지 유지했는가. 바로 무가정권 때문이다. 무가정권이 시작되면서 헤이안시대에 쌓아 올린 지적 성과들은 이른바 공경과 승려들에게로 퇴축되었고 이를 대신해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 무사들은 솔직히 필자의 생각으로 볼 때 글이나 알았을까 싶은 자들도 상당히 있다. 물론 그 중에는 헤이안시대 이래의 문화적 유산에 감화해서 인텔리 사무라이로 자처한 이들도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이러한 식자층의 위축은 간단히 다음 사실이 반영한다. 일본에는 에도시대 이전, 전해오는 문적에는 목판본이 많지 않다. 대부분 필사본이다. 비교적 많은 수의 문적이 남아 있지만 대부분이 필사본이며목.. 2024. 12. 26. 헤이안 시대 (2): 중국식 왕조의 수준 일본의 헤이안시대는 대략 우리의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초기에 해당하는데 이 시대는 견당사 파견이전까지 한반 도를 통해 대륙문화를 섭취하던 일본이중국으로부터 직접 문화를 수용하여 비약적 도약을 한다는 데 있다. 우리가 일본사에 대해 관심이 없으면 흔히 생각하는 오류 중 하나가 일본은 근세 이전까지 항상 한국에 대해서는 문화적 수혜자의 입장에 있었다는 생각인데, 이런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일본의 헤이안시대는 문화적으로 볼 때 한반도의 수준을 방불하거나일부 추월한 측면도 많이 보여준다. 통일 이전의 정치사회 체제를 계속 고수한 신라에 비해 헤이안시대 일본은 중국식 정치체제로 일변하고 문화적 수준도 상당한 정도에 도달했다. 예를 들어 이 시기에는 일본사에서 이른바 육국사라는 것을 남긴 시대인데, 육국사 중 .. 2024. 12. 26. 헤이안시대 (1): 이른바 율령국가를 다시 본다 일본사에서 말하는 율령국가를 한국사에 그대로 적응하여역사의 발전단계를 설정하고자 하는 시도도 보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바 율령국가, 혹은 율령제란 일본사에서나 의미가 있는 것이지 한국이나 중국사에서는 적용하기 힘든 개념이라 본다. 율령국가란 일본사에서 이른바 무가 정권, 헤이케 정권 이래 도쿠가와 시대까지 무가 정권의 대척점으로 설정된 개념이다. 쉽게 말해 중국식 왕조라는 뜻이다. 율령으로 지배하느냐 마느냐 이런 건 하나도 중요한 게 아니다. 무가정권시대라고 해서 칼로만 통치했던 것은 아니다.그 시대 역시 사회를 통제한 법규는 존재했으므로 굳이 율령국가라는 법치제체가 한 시대의 특징인양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율령국가란 헤이케 정권 이래 무가정권을 경험한 일본사에서 이와는 다른 성격의 중국식 왕.. 2024. 12. 26. 강항은 후지와라 세이카의 스승인가 강항 선생은 임진왜란 당시 피랍되어 일본에 머물면서 후지와라 세이카라는 일본 성리학의 개조를 만나 성리학을 전수해 주었다고 한다. 강항이 성리학을 전해주었다는 것은 우리 쪽 일방적 주장은 아니고, 일본 교과서에도 그렇게 되어 있으니 어느 정도 양국에서 동의하고 있는 바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시기 강항이 전한 성리학이라는 것은 소위 말하는 백제시대에 왕인이 천자문을 전했다던가, 백제가 불교를 전했다던가이런 것과는 상황이 다르다. 강항 선생이 일본에서 후지와라 세이카를 만났을 때는 일본에서는 주자학을 모르고 있던 상황이 아니었다. 알 수밖에 없었던 것이 이 시기가 되면 사서의 주가 모두 주자주로 바뀌어 있고 한당고주漢唐古注는 협주로 밀려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2024. 12. 25. 다산의 논어고금주 다산은 성리학 경전에 대한 자기 주를 남겨 소위 다산경학의 토대를 이루었는데필자는 남아있는 다산 경학의 주를 전부 읽지는 않았다. 다만 옛적에 논어 윤독을 할 때 다산의 논어고금주를 옆에 두고 하나씩 축자로 따라가며 본 적이 있는데다산의 논어고금주 하나만을 읽고 그의 경학을 모두 이야기하는 것은 무리라 할 수도 있겠지만독서기를 겸해 아래에 좀 적어둔다. -----------------------먼저 다산 경학에서 주희는 다산이 절대로 직접 까지 않는다.물론 당시 이미 교조화해버린 조선성리학의 풍토에서 주자에 대한 직접 비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지우리는 잘 알기에 일면 이해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그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다산 경학은 절대로 주자주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필자는 이 부분은 논어고.. 2024. 12. 25. 왜 인골 용어 지침서가 필요한가 필자 혼자서 인골에 관련된 용어를 통일시킬 수는 없다. 언어는 약속이며 이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 약속을 이행하겠다는 자발적인 동의가 있어야 하며혹 사회 전반의 합의에 의해 용어를 특정방향으로 바꾸어 통일한다면그에 대한 사전 논의가 충분히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인골 관련 용어는 지금 영어용어, 한글용어, 일본계열 용어, 그리고 각 분야에서 독자적으로 수립하여 사용하는 용어 등 중구난방이다. 이 골학책에서 필자는 굳이 의학용어를 고집할 생각은 없다. 의학,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 등지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모두 수록하되, 일본에서 쓰는 것을 그대로 받아 들여온 용어를현재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수록하지 않을 생각이다. 물론 일본에서 들어왔더라도 이미 많이 사용하는 것은 적절히 .. 2024. 12. 2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5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