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541

워털루 이빨, 죽은 병사 이빨은 보철이 되고 뭔가 하겠지만 워털루 이빨TEETH OF WATERLOO이다. 도대체 뭐가 특별할까? 1815년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패배했지만, 영국과 프랑스 양쪽에서 군인 약 5만 명이 사망한 대참사다. 죽은 병사들은 매장하기 전에 건강한 병사들 치아는 뽑아서 영국에 보냈다. 이 치아는 틀니(의치) 제작에 사용되었니 이를 "워털루 치아"라고 불렀다. 그 뒤에는 워털루랑 상관 없이 실제 치아로 만든 모든 보철물은 이렇게 일컫게 되었다. 이런 거 보면 참말로 인간이란 존재가 알다가도 모르겠다. 좀 더 상세한 내용은 아래 bbc 기사 참조 https://www.bbc.com/news/magazine-33085031 The dentures made from the teeth of dead soldiers at Wate.. 2024. 9. 26.
4천년 전 브리튼 섬에 이런 황금 망토? 이 몰드 황금 망토 Mold gold cape는 영국 청동기시대 기원전 1900~1600년 무렵 제작된 웨일스의 순금 판으로 만든 의식용 망토다. 이 경우 몰드는 발견된 지명이다. 1833년 플린트셔Flintshire 주 몰드Mold 근처 Bryn yr Ellyllon 무덤에서 노동자들이 발견했다. 무덤 이름 Bryn yr Ellyllon이 이채로운데 Goblins' Hill, 곧 도깨비 언덕이라는 뜻이다. 이 망토는 아마도 종교와 관련 있는 예복 일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브리티시 뮤지엄에 소장 전시 중이다. 놀라운 점은 저것이 제작된 연대다. 기원전 1천900년? 이 황금 망토는 무덤 봉분 안 거친 시스cist(돌로 쌓은 무덤, 이른바 호석을 두른 무덤)에 안장된 사람 몸에 씌운 상태로 발견됐다.. 2024. 9. 26.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 식민지로 확장한 그리스 세계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마갈레 헬라스Megalē Hellas]는 기원전 8세기부터 5세기까지 여러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가 식민지화한 남부 이탈리아 해안 지역을 말한다. ​ 시칠리아는 그리스 식민지이기도 하지만 보통 이 지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스트라보Strabo와 같은 후대의 작가들은 시칠리아를 포함하여 이 용어를 그리스 세계 전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했다. ​원래의 마간 그라이키아 지역은 에비아 식민지 쿠마에Cumae(아마도 기원전 740년에 가장 일찍 설립된 식민지였을 것이다)를 필두로 스파르타 식민지 타렌툼Tarentum(기원전 706년에 설립되었다)까지 확장된다. ​ 그리스 식민지 중 마지막으로 세워진 곳은 기원전 433년 건립된 헤라클레아Heraclea였다.​ 그.. 2024. 9. 25.
여자 장군 부호妇好가 휘두른 개폼 창날 1976년 은상殷商시대 도읍 하남성 안양安阳 소둔촌小屯村 서북쪽 은허殷墟에서 발견된 부호묘妇好墓 출토품 1천928건 문물 중 하나로 옥원동과玉援铜戈라 일컫는 단검이다. 이를 옥원동내과玉援铜内戈라 일컫기도 하는데, 내과內戈라면 外戈를 염두에 둔 표현일 텐데, 혹 저 둘을 세트로 보아 내외로 보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보다시피 자루 쪽은 청동으로 만들되 터키석을 비롯한 준보석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칼 몸통은 옥으로 제작했다. 오른쪽 기준일 듯한데 길이 27.8㎝다. 현재 중국 국가박물관이 소장 전시 중이다. 이를 재료와 그 기능을 결합해서 저쪽에서는 옥과玉戈라 일컫거니와, 옥으로 만든 戈라는 무기 일종이라는 뜻이다. 이는 크게 보다시피 자루와 칼 몸통으로 구성되니, 이 경우 몸통에 해당하는 칼날을 옥원玉援이라.. 2024. 9. 25.
[신라왕 매금寐錦 탐구] (1) 말뚝왕 414년, 고구려 장수왕 즉위 초반에 고구려가 작성한 이른바 광개토왕릉 비문에는 신라 왕을 일컬어 '신라매금新羅寐錦'이라 하며, 비슷한 시기 역시 고구려가 작성했다는 이른바 충주 고구려비에서도 '신라매금新羅寐錦'과 더불어 신라 왕을 일컬어 이칭으로써 '동이매금東夷寐錦'이라 해서 5세기 무렵 고구려가 신라 왕을 지칭해 '매금'이라 일컬었다 보는 견해가 자리를 잡은 형편이었다. 하지만 다른 아닌 신라인 스스로도 그 무렵 자신들의 왕을 일컬어 매금이라 했음은 524년 신라 법흥왕 시절에 작성한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서 당시 법흥왕을 일컬어 '모즉지매금왕牟卽智寐錦王'이라 했으니 이는 신라인 스스로의 신라 왕에 대한 호칭이 매금이었음을 본다. 아울러 시대가 훨씬 떨어져 신라 말 최치원이 작성한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2024. 9. 25.
100년 전 풍납토성 재림 팡파르를 울린 을축년 대홍수 누누이 강조하지만, 풍납토성을 이 땅에 출현케 한 이는 물난리였다. 1925년, 을축년 7월 한반도를 강타한 네 차례 대홍수는 한반도를 쑥대밭으로 만들었으니 그 쑥대밭에서 화려한 부활을 알린 이가 바로 풍납토성이다. 당시엔 광주 풍납리토성이라 일컬었으니, 이 허허벌판 강변 황무지가 한강물에 잠기고, 토사가 쌓이기도 했지만, 토사를 밀어내기도 했으니 그 물난리가 지난 자리에 청동초두 2점이 화려한 팡파르를 울리면서 천오백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으니 무슨 사연인지 모르나 큰 항아리 안에 보관되어 땅 속에 묻혔다가 이때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으니 깨진 그 항아리 사이로 문제의 청동초두가 화려한 부활을 알린 것이다. 2025년은 풍납리토성이 이 땅에 재림한지 꼭 100주년이 되는 해다. 그 상류 지점 암사동 선사유.. 2024.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