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물고고학11 동아시아 고대 동물을 이해하는 고리: 갑골문, 동물고고학, 선진문헌 갑골문 시대와 서주, 춘추전국시대 까지의 동아시아 동물 분포 양상은 오늘날 동물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이를 바라보는데 익숙하다. 하지만 기원전 1000년기 동아시아에는 상당한 폭의 기후변동이 있었고 이 때문에 동물의 분포와 종류의 측면에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는 점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한국 역시 청동기시대는 이러한 동식물 분포가 급변하는 양상을 보인 시기다. 아마도 청동기전기와 후기는 상당한 수준의 동식물 분포의 차이가 있었으리라 생각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아직 매우 미흡하다. 지난 수십년에 걸친 필자의 연구편력은 의과대학, 자연과학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연구의 성격상 무미건조한 과학적 연구 성과에 겉옷을 입히기 위해서는 연구의 외연을 인문학쪽까지 넓히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 2022. 8. 14. 갑골문, 시경, 동물고고학 동아시아의 가축 사육사를 밝히는데 있어서 필요한 三種의 神器는: (1) 갑골문에 나와 있는 동물 관계 기록 (2) 시경의 동물관계 기록 (3) 동물고고학으로 밝혀진 동아시아 가축사육의 양상 이 세 가지다. 이 세 가지로 동아시아 가축사육의 골격을 세운 후, 한국과 일본의 주변부 국가를 파고들면 그 전모가 드러나게 될 것이다. 2022. 6. 30. 김건수 《맛있는 고고학》 돌겠군. 책은 받았으니 가타부타 쪼개긴 해야겠고 또 물경 삼십년을 헤아리는 개인 친분도 있고.. 쉰 넘기며 책은 못 읽으니 대략 난감한 상황이다. 일단 김건수 옹 이 책 《맛있는 고고학》(진인진)이 나왔다는 소식은 전하며 추후 갈기갈기 찢어볼까 한다. 2021. 4. 5. 동물고고학 관련 심포지움 개최 10월 17일 여수에서 열리는 제69회 대한해부학회에서 관련 세션이 열립니다.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Symposium IV : Physical Anthropology 좌장: 신동훈 (서울대), 홍종하 (서울대) Day 2: 10. 17 (목) 16:30-17:10 신동훈: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생물인류학 연구 차원에서 본 동물고고학의 학술적 의미Utesuki Manabu: Teikyo University: Multi-isotope investigation of horse breeding in Japan홍종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고고학 발굴현장에서 수집한 조선시대 말 뼈 미토콘드리아 DNA D-loop 서열에 대한 유전학적 분석고은별: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분묘유적에서의 동물유존체 출토 양상과.. 2019. 9. 9. 동물고고학 원고 모집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Anatomy and Biological Anthropology 지에서 내년 6월 출간할 동물고고학 특집호 원고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원고는 국문 영문 모두 가능하며 내년 1월 말까지 원고가 투고 되어야 합니다. 발굴보고, 종설, 원저 모두 가능합니다. CALL FOR PAPERS Special Issue“Zooarchaeology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Biological anthropology has rapidly developed in recent years, entering a new stage to better understand our ancestors’ physical and pathological traits in history... 2019. 9.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