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364

[문화재기자 17년] (24) 세비야에서 겪은 이건무(1) 세계유산위원회 얘기가 나온 김에 2009년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33차 세계유산위원회 일화로써 이건무 선생 얘기로 들어가 볼까 한다. 당시 그는 문화재청장이었다. 두계 이병도 손자인 그는 깐깐한 인상을 주며, 실제로도 과묵한 편이고 꼬장꼬장한 공무원으로 소문이 났다.결코 드러내는 성정이 아니라 일 처리 역시 조용한 편으로 평가된다.그런 까닭에 기자들과 사이가 나빴다고는 할 수 없지만, 좋다고도 할 수 없었다.더 툭 까놓고 말해 기자들에게 그는 재미가 거의 없는 사람이었다. 특별히 친한 기자도 없는 듯 했고, 그렇다고 척을 진 기자도 없었다. 왜 그런 사람 있지 않은가? 이렇다 할 맛이 없는 그런 사람 말이다.이건무가 바로 그런 사람이었다. 나에게도 역시 그랬다. 나서는 성격도 아니요, 그렇다고 무슨 .. 2025. 2. 24.
말로만 듣던 보로부두르 앞에 서서 borobudur, central java, indonesia march 1st, 2013 이 보도부두르는 내가 명색이 문화재업계에 투신한 지 이미 당시에도 오래였지만, 좀체 연이 없었으니 뭐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열심히 일하는 사람일수록 외려 남들 다 가는 데 가기가 여간 어렵지 아니해서 주변 지인들을 봐도 다 그렇다. 외려 저런 명승을 다 싸돌아다니는 사람들은 엉뚱해서 같은 기자라 해도 농땡이 치는 놈들일수록 더 좋은 데는 더 많이 싸돌아다니는 기현상이 벌어지거니와 꼭 이런 말 하니 내가 꼭 그렇다 하는 꼴이라 못내 조금 뒷골이 뻐근하기는 하다만 그래 솔까 나는 한때 일에 미쳐 살았고, 그 일이 좋아 열광하며 살았다. 암튼 저 보로부두르 자체는 물론이려니와 인도네시아 자체가 나하는테는 저때가 처음.. 2025. 2. 24.
2009년 여름 세비야와 세계유산 페이스북 과거의 오늘 보기에서 퍼온다. 이 사진과 아래 첨부사진을 전재하면서 내가 적기를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Being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at the 33rd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at Seville, Spain on June 27th, 2009 라 했으니 2009년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33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던 그 순간을 촬영한 장면 중 하나다. 뒷줄 오른쪽에서 두번째가 당시 이건무 문화재청장이고 그 왼쪽이 외교부 어느 담당 국장이셨는데 성함은 까먹었다. 저 조선왕릉 등재 때 한국 취재진으로서는 내가 유일하게 현장을 지켜 보며 관련 기사를 썼.. 2025. 2. 23.
광저우 아시안게임 전날, 라오스에서는 문화재 혁명이 있었다 Luang Prabang and the Mekong River, november 11th, 2010곧, 2010년 11월 11일 루앙프라방이다. 라오스다. 메콩강이 관통하는 그 강변 프랑스 식민지시대 어느 고택이다. 거대한 메콩강은 강물이 유유히 흘렀다. 이날 라오스 메콩강이 왜 중요한가?한국문화재사에서는 위대한 날이다. 문화재가 마침내 ODA에 명함을 내밀게 되기 때문이다. 그 이전 문화재는 ODA에 끼지 못했다. 저 이튿날 중국 광저우에서는 아시안게임이 개막할 예정이었다. *** related article *** 한국 문화재 ODA 사업의 시작(4) 누군가는 느닷없이 시작했어야 할 일 한국 문화재 ODA 사업의 시작(4) 누군가는 느닷없이 시작했어야 할 일문화재가 ODA에 첫 발을 담그게.. 2025. 2. 22.
김유신을 전면에 끌어올린 학술대회[2] 극단의 시대 저 학술대회가 표방한 슬로건 ‘흥무대왕 김유신, 새로운 해석’은 김창겸 형이 밀어부친 제목이었다. 그때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는데, 나는 저 제목 실은 마음에 안 들었다.왜 굳이 김유신을 흥무대왕으로 한정하느냐 하는 불만도 없지 않았고, 저리 되면 문중 냄새가 짙게 나는 까닭이었다. 이 불만은 설계 단계에서 내가 우회로 표출은 했지만, 그러고는 말았다.형이 그렇게 하겠다는데, 더구나 고향 선배이고, 당시 학회장이었는데 내가 더는 어찌할 수는 없었다.그런 점에서 보면 형은 어쩔 수 없는 김해김씨 아닐까 싶기도 하다는 생각은 지금도 한다. 아무튼 제반 준비를 거쳐 학술대회를 공지하게 되었으니, 당시 학술대회 안내문이다. 보다시피 안내문은 내가 작성했다. 현대의 저명한 어떤 역사가는 20세기를‘극.. 2025. 1. 26.
김유신을 전면에 끌어올린 학술대회[1] 돈과 조직 이것도 한 시대 편린으로서, 그리고 김태식 궤적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정리해두어야겠다. 보다시피 2007년 10월 19일 금요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신라사학회와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가 주최하는 '흥무대왕 김유신, 새로운 해석'을 주제로 내건 학술대회가 열렸거니와 이때는 김창겸과 김태식의 전성시대였으며, 이네가 주축이 되어 조직한 신라사학회가 한창 잘나가던 시절이었다. 신라사 전문 연구를 표방한 신라사학회가 김유신을 빼놓을 수는 없었다. 언젠가는 전면에 내세워야 하는 문제적 인물이었으니, 그런 말만 무성하다가 결국 신라사학회가 칼을 빼들었다. 문제는 돈이었다. 이 학술대회를 준비하면서 나는 창겸형이랑 누가 그리 이야기는 하지 않았지만 자연스런 역할 분배가 이뤄졌으니, 형은 조직과 사람 끌어오기를 했고, 나는.. 2025.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