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931

3D 스캔 미라가 살려낸 람세스 2세 꼭 이게 아니더라도 저 람세스 2세 할배 얼굴은 많다.미라가 아주 잘 남았기 때문이다.한데 이참에 좀 더 과학을 가미해서 절 할배 얼굴을 복원했으니 저 모습이랜다.세배 드리면 용돈 좀 찔러줄 듯한 인자한 할배 같지만 글쎄다.저 할배 음흄하기가 고구려 장수왕 뺨친다.저 람세스2세 얼굴은 저 모습을 왔다갔다할 수밖에 없으니, 워낙 왕위에 오래있다가 아주 늙어서 죽었기 때문이며, 그 모습이 남았기 때문이다. 암튼 저 할배 권력, 정복, 신성한 통치의 상징처럼 통용했다.이집트 전사 왕이자 제국과 사원을 건설한 사람이었고 살아있는 신으로 군림했다. 법의학 전문가와 현대 얼굴 재구성 기술 덕분에 저런 모습으로 환생했다.미라화한 두개골을 자세히 스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와 같이 재구성했다.깊숙이 들어간 눈, 튼튼한 .. 2025. 3. 30.
소수박물관 소장 기려도騎驢圖 by 김주부 소수박물관에 기려도 촬영 갔다가 얻은 사진 이미지 탈초 번역 성공 2018년 봄에 반남박씨 소고문중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집으로 제작하였다. 기려도騎驢圖 書畵1(畵:騎驢圖)|81.5×66.5㎝|6丈|일부훼손|소수서원 소장화선지 아래 부분에 나귀를 타고 가는 인물을 먹으로 그리고 그 윗부분에 그림 속의 인물에 대한 평을 5언 혹은 7언절구로 제시題詩한 것을 새겨 찍은 판화版畵이다. 모두 6장이다. 모두 그림의 배경은 없고 나귀와 인물이 전부이다. 등장하는 인물로는 이백李白, 가도賈島, 장과로張果老 등이다. 나귀와 인물은 온전하게 보이지만 상단의 한시 부분은 결실과 훼손으로 시의 내용을 완전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舉世多少人 많은 사람을 열거해 보아도 無如這老漢 이 노인 같은 이 없네 不是倒騎驢 나귀를 거꾸로 .. 2025. 3. 30.
벨 비커 시대 요상한 돌 판대기 두 점 수입산 팔목 보호대를 찬 4천500년 전 전사! 수입산 팔목 보호대를 찬 4천500년 전 전사!Archaeologists in Germany’s Salzlandkreis district have uncovered a remarkable 4,500-year-old burial site linked to the Bell Beaker culture, featuring the graves of three warriors. 독일 잘츠란트크라이스Salzlandkreis 지구 고고학도들이 historylibrary.net 앞서 이 이야기를 정리하는 와중에 저 무덤 저 해골이 유럽에서는 종 모양 비커 문화 Bell Beaker Culture 소산이라는 말을 했거니와 그러면서 이전에도 여러 번 논급하기도 했고, 또 내.. 2025. 3. 30.
에도시대 칼을 썼다가는 어떻게 되는가 추신쿠라라는 유명한 에도시대 이야기가 있다. 주군이 사소한 싸움으로 할복하자 졸지에 낭인이 되어버린 번사들이 와신상담원수를 베어버리고 복수하는 것이다. 복수한 다음이 문제겠다. 유교윤리에서는 정당한 복수는 죄가 아니다. 이건 우리나라도 그랬다. 정당한 복수는 윤리적으로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추신쿠라의 소위 46 의사 (혹은 47)에 대해서도당시 사무라이들은 물론 에도의 죠닌들은 열광했다. 하지만 막부의 결정은 냉정하여 46명 전원을 할복시켰다. 이 46명의 의거는 장하지만 이걸 그대로 놔뒀다간 막부의 통치는 난장판이 될 것이므로. 에도시대에는 막말로 갈수록 신분이 높은 사무라이일수록 그래서 몸을 사렸다. 칼은 차고 다니고 화려하게 장식하지만뽑지 않았다. 뽑는 순간 모가지가 날아가고 녹봉이 사라지기 .. 2025. 3. 30.
습지 미라계의 절대 셀렙 톨룬드 맨의 마지막 식단 Last meal of ancient human sacrifice victim 'Tollund Man' revealed in exquisite detail By Laura Geggel published July 22, 2021 Before he was hanged, Tollund Man ate porridge and fish.- 고대 인신공희 희생자 '톨룬드 맨'의 마지막 식사가 정교한 세부로 공개되다- 톨룬드 맨은 교수형에 처해지기 전에 죽과 생선을 먹었다. 기원전 400년 무렵 폭력적인 죽음 직전, 덴마크의 유명한 습지 미라 bog body "톨룬드 맨Tollund Man"으로 알려진 한 남자가 죽porridge과 생선을 먹은 것으로 새로운 연구에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톨룬드의 대장 일부를 연구하여.. 2025. 3. 30.
막말의 사무라이 칼과 칼집 근간 김단장께서 올리는 칼과 칼집의 글에 공감하는 바 많아 글을 조금 같이 올려둔다. 후쿠자와 유키치가 에도시대 말, 즉 막말 시기 칼차는 관습에 대해 쓴 이야기가 있다.원문에서 발췌하여 정리해서 써 보면 이렇다. 칼은 본래 일신을 보호하기 위해 차는 것인데오랜기간 전쟁이 없었기 때문에 점차 칼날은 완전히 없어졌지만 여전히 겉모양만은 꾸미게 된다. 검술도 모르는 주제에 조상 대대로 전해져 오는 습관이라거나 무사의 심벌이라 하면서 칼을 차고 다닌다. 검술을 알지도 못하면서 칼을 차는 자가 열에 여덟아홉이다. 칼로 먹고 산 사무라이들도 막말이 되면 칼을 쓰지는 않아도 칼집을 꾸미고 다녔다. 고도로 아름다운 세공품 칼과 칼집은 전부 에도시대 것이다. 앞에서도 썼지만 에도시대 사무라이는 칼을 함부로 뽑지 않았.. 2025. 3. 30.
반응형